언론사 기자를 사칭해 국회에 출입해 논란을 빚은 삼성전자 임원이 8일 사임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임원이 부적절한 방법으로 국회를 출입한 것에 대해 다시 한번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해당 임원은 오늘 물의를 빚은데 대해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했다. 회사는 이를 즉각 수리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 측은 “앞으로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필요한 모든 조치를 다하겠다”며 “국회 및 관계자 여러분께 거듭 머리숙여 사과드린다”고 덧붙였다.
앞서 류호정 정의당 의원은 “삼성전자 부사장 (국정감사) 증인 신청 후 삼성전자 관계자들이 의원실에 많이 찾아왔다”며 “출입 경위를 알아보니 한 언론사의 기자 출입증을 가지고 들어왔다”고 공개했다. 해당 임원은 새누리당(현 국민의힘) 당직자 출신으로 대관 업무를 맡아 왔다. 취재가 아닌 목적으로 국회 출입기자증과 관련된 제도를 악용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심상정 정의당 대표도 이날 기자회견을 하고 삼성전자 임원이 국회 출입기자 등록증을 이용해 국회 건물을 출입한 사실과 관련 “1급 국가보안시설인 국회가 삼성에 의해 유린된 것에 참담하다”고 비판했다. 또 심 대표는 당 임원이 등록된 언론사 주소지가 일반 음식점으로 알려진 것과 관련해선 “유령 언론사를 만들어 국회 보안망을 뚫고 로비를 한 것이 삼성에서 조직적으로 기획한 일인지 수사를 통해 밝혀야 한다”고도 했다.
한편 국회 측은 삼성전자 임원의 출입기자증 발급과 관련해 “(삼성전자 임원이) 본인 바이라인을 달고 주기적으로 기사를 썼다”며 “장기출입증 갱신을 위한 형식적 요건에는 하자가 없었다”고 해명했다. 이에 국회는 해당 언론사의 설립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서울시와 문화체육관광부에 협조 요청을 보내 조사에 착수했다. 추가적인 사실관계 등을 거쳐 필요한 경우에 국회 사무총장 판단으로 법적인 조치에 대한 절차도 고려하고 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