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경찰청이 북한군에게 피격돼 사망한 해양수산부 공무원 A씨(47)의 휴대전화가 인위적으로 꺼진 점이 월북의 정황 증거라고 주장했다.
김홍희 해양경찰청장은 8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확정은 못 짓지만 실족해 물에 빠졌을 때와 휴대전화 전원이 일부러 꺼졌을 때는 차이가 난다고 본다”며 “확인한 바로는 인위적인 힘으로 (휴대전화 전원을) 눌렀고 (월북의) 정황 증거는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청장은 이어 “실족했다면 핸드폰이 방수되니 119나 지인에게 전화할 수 있었는데 그렇지 않았다”며 “실족 가능성은 작다”고 했다.
김 청장은 A씨가 실종된 시간이 지난달 21일 오전 2~3시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그는 “쉽진 않지만 조류의 흐름을 타고 구명조끼와 부력재를 이용할 경우 북한 측에서 발견된 위치까지 (이동이) 가능하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A씨 가족들은 A씨가 월북한 것으로 보인다는 정부 주장이 사실과 다르다고 주장한다. A씨의 아들은 문재인 대통령에게 쓴 편지에서 “(아빠는) 학교에 와서 직업소개를 할 정도로 직업에 대한 자부심이 높으셨고 해양수산부 장관 표창장, 중부지방해양경찰청장 표창장까지 받았다”며 월북 가능성을 일축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