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심상정 대표는 8일 삼성전자 임원이 국회 출입기자 등록증을 이용해 국회 건물을 출입한 사실이 드러난 것과 관련해 “1급 국가보안시설인 국회가 삼성에 의해 유린된 것에 참담하다”고 지적했다.
심 대표는 이날 긴급 의원총회에서 박병석 국회의장을 향해 “국회는 삼성전자 국회 우롱사건의 진상과 책임을 철저히 규명하고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정의당 류호정 의원은 전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삼성전자의 중소기업 기술탈취 관련 민원을 접수하고 사실 확인을 위해 부사장을 증인으로 신청하자 삼성전자의 임원 한 사람이 매일같이 의원실에 찾아왔다”고 말했다.
류 의원은 “국회 업무 포털을 이용해 국회 장기 출입 기자 명단에서 해당 간부의 이름을 쉽게 찾을 수 있었고, 등록된 번호와 사진까지 확인해 파악했다”며 “뉴스 검색을 통해 (해당 간부가) 전 새누리당 당직자였음을 알 수 있었다”고 했다. 류 의원은 “언론의 자유로운 취재를 위해 출입증을 발급하는데 대기업 대관업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언론을 참칭한 것이라면 응당한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했다.
국회사무처도 자료를 내고 “확인 결과 의혹을 받는 간부는 2016년부터 국회에 출입등록한 기자로 확인됐다”며 “사실관계를 파악한 후 해당인의 국회 출입 목적이 보도 활동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관련 내규에 따라 조치하겠다”고 했다. 내규에 따르면 국회 출입의 목적이 보도활동과 관련이 없는 경우 사무총장은 해당 언론사의 기자 또는 전체에 대해 출입 등록을 취소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이에 대해 “기자 출입증으로 국회를 출입하며 물의를 일으켜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국회가 정하고 있는 절차를 지키지 않은 것은 명백히 잘못된 일이며, 다시는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해명했다.
심 대표는 해당 임원이 등록된 언론사 주소지가 일반 음식점으로 알려진 것과 관련해 “유령 언론사를 만들어 국회 보안망을 뚫고 로비를 한 것이 삼성에서 조직적으로 기획한 일인지 수사를 통해 밝혀야 한다”고도 했다.
심 대표는 또 “산자위에서 의결됐던 류호정 의원의 삼성전자 부사장 증인 채택이 결국 무산됐다”며 “위원장과 양당 간사는 삼성 로비에 의한 것인지 국민들께 소상히 밝혀 달라”고 요구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