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음식 거래가 급증했지만 음식값의 30%는 배달 관련 비용으로 빠져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대료, 재료비, 인건비에 배달앱 관련 비용까지 감안하면 거래가 많지 않은 소상공인들은 여전히 힘든 것으로 풀이된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민의힘 엄태영 의원은 주요 배달앱 3사(배달의민족·요기요·쿠팡이츠)를 통해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소상공인이 배달 관련 비용으로 내는 금액이 음식값의 약 30%에 이르렀다고 8일 밝혔다.
배달앱 회사에 지불하는 중개수수료, 광고비, 결제수수료, 배달원에게 지불하는 배달비까지 합치면 음식값의 30% 안팎을 배달을 위한 비용으로 내게 된다. 소상공인 입장에서는 매출이 증가하는 만큼 순이익이 따라가지 못하는 구조인 것이다.
엄 의원실 분석에 따르면 주요 배달앱마다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식은 서로 다르지만 보통 2만원짜리 음식을 2㎞ 거리로 배달했을 때 음식점 수입은 통상 1만3400~1만4600원(음식값의 67~73%)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대료, 재료비, 인건비 등의 비용까지 감안하면 순수익은 더 떨어지게 된다.
배달 비용을 살펴보면 이렇다. 일단 중개수수료 또는 광고료가 나간다. 배달앱 3개사 가운데 요기요와 쿠팡이츠는 음식을 주문하면 건당 중개수수료를 받고 있다. 요기요 수수료는 12.5%이고, 쿠팡은 15%로 책정했으나 5%만 받는 프로모션을 진행 중이다. 배민은 중개수수료 대신 정액제 광고료를 받고 있는데 월평균 광고 이용료는 27만원 정도다.
소비자가 배달앱에서 음식을 주문하고 결제하면 결제수수료도 발생한다. 결제수수료는 3개사 모두 3%다. 여기에 배달원에게 지급하는 배달 비용은 보통 주문 거리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는 편인데 입점 업체와 소비자가 나눠서 내는 게 일반적이다.
통계청의 지난 8월 ‘온라인 쇼핑 동향’에 따르면 배달음식 등 음식서비스 거래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3.9% 증가한 1조5785억원에 이르렀다. 수치로 확인되는 거래액은 크게 늘었지만 많은 소상공인이 실질적인 소득 증가를 체감하지 못 하는 실정이다.
엄 의원은 “배달앱 이용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배달 앱 회사들이 과도하게 이익만을 추구할 것이 아니라 중개수수료, 광고비 등의 인하와 사실상 광고를 압박하는 노출 방식을 개선해 소상공인과 상생·공존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