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대구지역 기업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8일 대구상공회의소가 지역 중견기업 41곳을 대상으로 ‘대구지역 중견기업 현황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24.4%가 정책적 혜택을 받기위해 중소기업 회귀를 검토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 2월 산업부가 발표한 ‘2019년 중견기업 실태조사’의 전국 평균(5.1%)보다 높은 것으로 코로나19 사태를 감안하더라도 수치가 높다는 것이 대구상의의 분석이다.
중견기업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중간에 위치하는 기업이다. ‘매출 400억~1500억원 이상’ ‘자산규모 5000억원 이상 10조원 미만’ 등 요건을 충족하면 중견기업으로 분류한다. 대구지역에는 2018년 결산 기준으로 111개의 중견기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 기업의 0.1%에 불과하지만 지역 고용의 약 3%, 매출액의 16% 정도를 차지하는 등 지역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중견기업들은 중소기업에게 주어지는 ‘일자리·인력지원(44.5%)’ ‘세제 혜택(33.3%)’ ‘정책금융 지원(22.2%)’ 때문에 중소기업 회귀를 검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기업의 65.9%가 지난해 상반기 대비 올해 자금 사정이 악화됐다고 답했고 자금사정이 악화된 주요원인으로 10곳 중 9곳이 ‘판매부진’을 꼽았다. 대구상의는 중견기업에 각종 지원이 절실하다는 증거라고 분석했다.
대구상의가 지역 210개 기업(제조업 160개·건설업 50개)을 대상으로 조사한 4분기 BSI(기업경기전망지수) 결과도 좋지 않다. 제조업 61, 건설업 42로 나타났는데 BSI가 100보다 낮으면 경기 악화를 예상하는 기업이 호전될 것으로 보는 기업보다 많다는 뜻이다. 지역 기업들이 4분기 경기 전망을 비관적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이와 별로도 160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코로나19 여파를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76.9%가 ‘올해 초 계획했던 영업이익이 목표치에 미달할 것’이라고 답했다. 50.6%는 ‘연초부터 비상경영을 유지하고 있다’고 답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