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7일 북한의 우리 공무원 사살 사건 발생 당시 긴급관계장관회의에 자신을 부르지 않은 데 대해 청와대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 문제를 제기하고 시정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강 장관은 최근 불거진 남편의 요트 여행 논란에 대해 거듭 사과했다.
강 장관은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지난달 23일 새벽 1시 청와대에서 열린 긴급관계장관회의 개최 사실을 “몰랐다”고 답했다. 강 장관은 “외교부 내 다른 직원들도 언론을 보고 알았다”며 “그 부분은 분명 문제점이 있다고 생각해 다음 NSC 상임위원회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시정을 요구했고 시정됐다”고 말했다.
당시 공무원 사살 사건 관련 첩보 분석을 위해 소집된 회의엔 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노영민 청와대 비서실장, 이인영 통일부 장관, 박지원 국가정보원장 등이 참석했다. 종전선언 제안을 담은 문재인 대통령의 유엔총회 연설을 앞두고 있었지만 외교부에선 아무도 참석하지 않아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강 장관은 청와대가 외교부를 의도적으로 ‘패싱’한 것 아니냐는 정진석 국민의힘 의원 지적에 “그렇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국가안보실장과 수시로 통화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수시로 문재인정부 외교·안보라인 고위 인사들과 수시로 식사를 하며 소통하고 있다고도 강조했다.
조성길 전 주이탈리아 북한 대사대리의 한국행과 관련해 강 장관은 “기사가 나와서 놀랐다”면서도 “공개적으로 확인을 해드릴 사항은 아니다”고 답했다. 강 장관은 “외교부가 할 역할은 충분히 했지만 상세 내용은 말하기 곤란하다”고 했다. 강 장관은 또 ‘조 전 대사대리 본인 의사와 상관 없이 발표된 것 같다’는 조태용 국민의힘 의원 지적에 “정부로서는 안전을 위주로 본인의 바람에 따라 일을 처리하는 게 최우선 원칙”이라고 해명했다.
남편 이일병 연세대 명예교수의 요트 구입과 여행을 위한 출국에 대해선 거듭 송구하다고 밝혔다. 강 장관은 “국민들께서 코로나19로 인해 외부활동을 자제하시는데 남편이 해외로 출국해 경위를 떠나 송구스럽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남편은 제가 말린다고 말려질 사람이 아니다”고 했다.
이날 외통위 국감은 외교부의 자료제출 부실에 대한 여야 의원들의 질타가 이어지면서 한때 감사가 중지되기도 했다.
한편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20대 국회 외통위원 시절 받은 외교관 여권을 아직 반납하지 않은 사실이 확인됐다. 조수진 국민의힘 의원이 외교부·법무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대 국회 후반기 외통위원이었던 추 장관은 임기가 끝난 후에도 외교관 여권을 반납하지 않았다. 통상 2년 임기인 외통위원들에게는 원활한 의원 외교 수행을 위해 외교관 여권이 발급된다. 같은 시기 외통위원이던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은 2019년 1월, 이인영 통일부 장관은 같은 해 10월에 반납했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