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4억원 넘게 들이는 공무원 메신저 가입률은 50%미만

입력 2020-10-07 14:49 수정 2020-10-07 15:01

매년 유지비로만 4억원 넘게 투입하는 공무원 전용 메신저 ‘바로톡’에 가입한 공무원이 전체 중 절반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지물인 공무원 메신저에 국민 혈세가 빠져나가고 있는 만큼 유지 여부를 논의해야 할 시점이라는 지적이다.

7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한병도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50개 중앙 부처와 17개 시·도 자치단체 공무원 46만1263명 가운데 바로톡에 가입한 수는 21만7929명에 그쳤다. 가입률로는 47.2% 수준으로 절반에도 못 미쳤다.

중앙 부처 중에서는 국가인권위원회가 0.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어 방위사업청 1.4%, 대검찰청 6.7%, 국가정보원 7.1%, 정책기획위원회 9.5% 등 순으로 가입률이 낮았다.

자치단체별 가입률은 서울시가 11.2%로 가장 낮았다. 이어 광주 23.9%, 인천 27.0%, 강원 27.5%, 충남 31.7% 등 순으로 나타났다.

바로톡은 2014년 공무원의 업무자료를 송수신하고 의사소통 보안을 확보하겠다며 개발비 약 1억7000만원을 들여 만든 공무원 전용 메신저다. 개발 이후 시스템 유지보수비로 매년 4억5000만원이 투입되고 있다.

한 의원은 “공무원 절반 이상이 가입조차 하지 않은 것으로 볼 때 실제 이용률은 더욱 낮을 것이다. 사실상 유명무실한 상태다”며 “바로톡을 계속 운영할지 고민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