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자치도 VS 특별자치시 대구·경북 행정통합 방향은

입력 2020-10-07 14:38
대구·경북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가 지난 6일 대구경북연구원에서 2차 회의를 열고 공론화위 운영 방향 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대구시 제공

대구와 경북을 하나의 행정단위로 합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기를 띠고 있는 가운데 권영진 대구시장이 기존 특별자치도 통합안과는 다른 ‘대구 메가시티 통합안’을 주장하고 나섰다. 앞으로 통합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통합의 방향을 정하는 것이 중요한 논의 과제가 될 전망이다.

7일 대구시 등에 따르면 권영진 대구시장은 최근 한 언론 인터뷰에서 “기존 대구경북특별자치도 중심의 행정통합 논의는 과거로 돌아가는 것”이라며 “특별자치시 또는 특별광역시 중심의 통합 방향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밝혔다. 세계의 주요 도시들이 메가시티를 지향하고 있고 기존 특별자치도 방식으로는 광역시인 대구의 이점을 살리기 어렵다는 것이다.

대구·경북 행정통합 논의는 최근 급물살을 타고 있다. 지난달 21일 ‘대구·경북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이하 공론화위)’가 출범했다. 공론화위는 시·도의회, 학계, 경제계, 시민단체 등의 인사 30명으로 구성됐다. 공동위원장은 김태일 영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와 하혜수 경북대 행정학부 교수가 맡았다. 공론화위는 앞으로 행정통합에 대한 주민 공감대 확산, 주민투표 시기 결정, 행정통합 특별법 제정 지원 등을 논의하게 된다. 지금까지 두 차례 회의를 열었다.

앞서 대구경북연구원은 현재 1광역시 8개 구·군인 대구와 1광역도 23개 시·군인 경북을 31개 시·군·구로 구성되는 대구·경북특별자치도로 바꾸는 안을 발표했다. 통합이 되면 대구·경북은 인구 500여만명의 거대 도시가 되는데 이렇게 되면 거대화된 수도권을 견제하고 지역발전이 가능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다는 논리다.

권 시장의 이번 제안은 특별자치도 안을 바탕으로 추진되던 통합안에 수정이 필요하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이에 공론화위도 이 부분에 대한 논의를 추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북도는 통합의 명칭이 중요하지는 않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시 관계자는 “권 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메가시티 방안에 대해 이미 이야기를 나눈 것으로 안다”며 “앞으로 통합 방향을 두고 지역 내에서 다양한 의견이 나올 수 있지만 대구시와 경북도의 입장차가 크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대구시와 경북도 모두 결정의 주체가 시·도민이라는 기본 입장을 가지고 있어 지역에 따라 주민들의 의견이 갈릴 경우 논쟁거리가 될 가능성도 있다. 통합 반대 의견도 복병이다. 일정상 늦어도 내년 5~6월까지 주민투표가 실시돼야 하는 만큼 대구시와 경북도가 주민투표 전까지 지역민들의 의견을 얼마나 모으느냐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