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인도 코로나 우울증 상담 받고 싶다”

입력 2020-10-07 14:00 수정 2020-10-07 14:10

장애인단체들이 정부가 제공하는 코로나19 우울증 상담 서비스를 청각장애인은 이용할 수 없다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을 제기했다.

‘장애의 벽을 허무는 사람들’ 등 장애인단체는 7일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청각장애인을 위한 코로나19 상담 서비스를 개선하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코로나 블루(corona blue)라 불리는 코로나 우울증 문제가 불거지며 지난해보다 월평균 자살 예방 상담 전화가 78% 증가했다”면서 “문제는 상담이 유무선 전화로만 이루어져 청각장애인들이 비대면 상담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대인관계는 물론 소통이 차단되면서 청각장애인들이 우울한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은 (비장애인들보다) 더 높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하지만 대면 상담은커녕 전화 상담도 어렵다 보니 하소연할 곳이 없어 속으로만 앓아야 하는 실정”이라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진정을 제기한 한 청각장애인은 “흔히 말하는 코로나19 우울증이 온 것 같아 상담을 받고 싶었지만, 직접 상담은 모두 불가능했다”면서 “전화를 할 수 없는 농인들도 속 시원히 상담을 받을 수 있는 곳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단체들은 보건복지부와 정신건강복지센터, 중앙자살예방센터 등에 청각장애인들이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것을 요구했다.

질병관리청은 자체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청각장애인을 위한 일대일 문자 상담을 제공하고 있다. 또 129 영상수화상담 앱을 통해 영상 수화 상담을 요청할 수 있다. 다만 장애인을 위한 정신 상담 서비스는 아직 없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