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고로 예술 활동을 지원하는 서울문화재단의 미숙한 업무처리가 청와대 국민청원에 등장하는 등 연일 도마에 오르자 재단이 뒤늦게 수습에 나섰다.
서울문화재단이 앞선 부적격 심의위원 사태와 관련해 재심의 경과와 추가 조치 등을 6일 안내했다. 지난달 28일 재단은 심의과정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재심의 사실을 공지했으나 심의위원 구성과 사건 경과 등 제대로 된 설명을 하지 않아 참가자들의 반발이 거세던 상황이었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도 재심의 과정의 공정성을 감사해달라는 취지의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상황이 일파만파 번지자 재단은 공지를 통해 심의위원 구성과 재심의 경과 및 대상으로 구분해 조목조목 설명했다. 특히 재심의 결과 29건이 새롭게 선정됐고, 31건이 탈락했는데 재단은 재심의를 통해 순위가 변동돼 미선정된 예술가에 대해 관련 기관과 협의해 같은 지원이 이뤄지도록 추가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재단은 심의위원 구성과 관련 “이번 사업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국고 사업으로 ‘온라인미디어 예술 활동 지원사업 안내서’에 따라 예술 분야 3인, 뉴미디어 영상콘텐츠 분야 2인 이상의 외부전문가로 구성했다”며 “3배수인 15명을 후보군으로 추린 뒤 임의 순위를 정해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재심의 방식은 결격사유가 있는 심의위원의 점수를 제외한 나머지 심의위원의 심의 결과를 재집계한다.
논란은 지난달 28일 오후 2020년 서울문화재단 온라인미디어 지원사업 ‘ART MUST GO ON’ 최종 선정 결과’가 발표되면서 시작됐다. 이 사업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변화하는 창작 환경 속에서 온라인 미디어를 활용한 예술 활동을 국고로 지원하는 프로젝트다.
최종 선정 결과 발표 직후 심의위원 가운데 1명에 중대한 결격사유가 있다는 제보가 나왔다. 재단은 “지목된 심의위원의 인적사항과 결격 사유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리기 어렵다”며 “다만 부정청탁 또는 금품수수로 인한 불공정 심의는 아니었다”고 설명했다. 재단은 재심의 요구를 받고 심의 결과 공지를 삭제하고 지원 신청자 648명에게 상황을 문자로 안내했다.
하지만 해당 공지 글에는 정확한 경위와 대책, 절실함을 호소하는 예술가들의 비판 댓글이 줄줄이 달렸다. 특히 기존 심의와 재심의 과정에서 수치가 변경됐으나 당초 설명을 제대로 하지 않아 혼란을 야기한 것에 대한 비판이 많았다. 기존에는 648건을 대상으로 심의해 110명을 선정했는데 재심의는 546건 중 108명을 선정했다고 명시됐다. 서류 미비 등 1차 탈락자 포함 여부로 발생한 차이라 절차상 문제는 없었으나 재단이 제대로 설명하지 않아 예술가들의 분노가 거셌다.
김종휘 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는 “제출서류 미비 등으로 행정심의에서 미선정된 102건은 처음부터 심의대상이 아니었으므로 재심의 대상도 아니다”라며 “재심의는 기존 서류심의 대상자인 546건에 대해서 같이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