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 의원은 이날 별도의 입장문을 내고 “전직 북한 외교관이며 조성길과 오랜 기간 함께 했던 사람으로서, 조성길 본인의 동의 없이 관련 사실이 언론을 통해 무분별하게 노출되는 것에 대한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태 의원은 현재 조 전 대사대리의 소재와 소식을 전혀 알지 못한다고 했다. 이어 조 전 대사대리의 한국행 사실이 밝혀지면서 탈출 직후 북으로 강제 송환된 딸에게 처벌이 내려질 수 있다며 자신이 조 전 대사대리의 한국행 추진을 포기했던 사연을 소개했다.
2016년 영국 공사 시절 먼저 한국행을 택했던 태 의원은 2018년 조 전 대사대리가 이탈리아 주재 북한 대사관을 탈출했다는 소식을 듣고 그의 한국행을 추진했다고 한다. 태 의원은 “내가 북한 외무성 유럽국 부국장으로 있었던 시절, 조성길은 같은 국 5과 이탈리아 담당 부원으로 있었다. 나는 그와 20년 지기”라며 “조성길과의 오랜 정을 생각해서 그를 우리 대한민국으로 데려오기 위한 운동을 적극적으로 펼쳤었다”고 밝혔다. 태 의원은 “하지만 당시 조성길이 그의 딸을 데려오지 못했고, 북한이 그의 딸을 평양으로 강제 귀환시켰다는 소식을 듣게 됐다”며 “내가 한국행을 주장할 경우 조성길은 물론 북으로 끌려간 딸에게도 불리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는 충고를 받아 활동을 중지했다”고 설명했다.
태 의원은 “도주자·이탈자로 분류된 탈북 외교관의 가족에게 가해지는 불이익 중 가장 가혹한 처벌은 지방으로의 추방이지만 정치범 수용소에 보내는 등 극단적 처벌은 하지 않는다”며 “변절자·배신자의 가족에게 어떤 처벌이 내려질지는 아무도 모른다”고 했다. 이어 “탈북 외교관들이 대한민국에 와서 북한 김정은 정권에 반대하는 활동과 해를 가하는 발언 등을 하는 경우, 북한은 절대 가만히 있지 않는다”며 “없는 범죄 사실도 만들어서 뒤집어씌우고, 심지어 테러 위협까지 가한다”고 전했다.
태 의원은 “대한민국에 와있는 대부분의 전직 북한 외교관들은 북에 두고 온 자식들과 일가친척들의 안위를 생각해서 조용한 삶을 이어가고 있고, 우리 정부도 인도적 차원에서 신분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며 “조성길이 만약 대한민국에 와 있다면, 딸을 북에 두고 온 아버지의 심정을 헤아려 우리 언론이 집중조명과 노출을 자제했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통상적으로 북한 외교관이 탈북할 경우 한국행을 위해 긴급 여권을 발행하기 때문에 외교부 장관이 누구보다 먼저 이 사안을 알게 된다. 태 의원은 하지만 앞서 설명한 이유를 들어 “7일 진행되는 외교부 국정감사에서 조성길 관련 질의는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나래 기자 nar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