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네이버는 ‘상습적 알고리즘 조작 집단’이라는 비난을 받아도 할 말이 없게 됐다”면서 네이버 창업자인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에 대한 국감 증인 채택을 추진키로 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6일 ‘네이버는 쇼핑·동영상 검색 알고리즘을 인위적으로 바꿔 자사 상품이나 콘텐츠를 최상단에 올리고 경쟁사 상품을 검색결과 하단으로 내렸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한 데 대한 질의를 하겠다는 것이다.
국민의힘은 공정위 조사 결과와 관련해 국감 증인 채택뿐 아니라 네이버에 대한 형사 고발도 추진할 방침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은 이날 성명을 통해 “떳떳하다면 실무진 뒤에 숨지 말고 실질적인 최고책임자가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네이버는 지난 9월 20일 ‘추미애 장관’ 관련 뉴스 배열 알고리즘 조작 의혹에 대해서도 실무진을 내세워 전산학과 학부생도 납득하기 힘든 무성의한 해명을 내놓은 바 있다”면서 “만약 쇼핑 검색 알고리즘 조작하듯 뉴스 검색 알고리즘 조작했다면 이는 엄청난 사건”이라고 주장했다.
국민의힘은 “증인 신청을 거부한다면, 민주당은 알고리즘 조작을 비호하는 정당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증인 채택이 거부된다면 국민의힘은 네이버를 직접 찾아가 검색 알고리즘 조작의 진실을 따져 물을 수밖에 없다”고 했다.
국민의힘은 “이번 쇼핑 검색 알고리즘 조작은 네이버가 영세 인터넷업체의 업무를 위계에 의해 방해한 혐의가 농후하다”면서 피해 업체 측과 함께 검찰에 고발장을 낼 예정이라고 했다.
그러나 이날 과징금 267억원이 부과된 네이버는 “공정위가 충분한 검토와 고민 없이 사업자의 사업 활동을 본질적으로 침해하는 결정을 내린 것에 대해 매우 유감”이라고 반박했다. “공정위 결정에 불복해 법원에서 그 부당함을 다툴 예정”이라고도 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