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6일 북한군에 사살된 해양수산부 공무원 이모(47)씨 아들의 공개 자필편지에 대해 “아버지를 잃은 아들의 마음을 이해한다. 나도 마음이 아프다”고 말했다. 이씨의 유족은 이날 이씨의 명예회복을 하겠다며 국방부 등을 찾아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관련 보고를 받고 “해경이 여러 상황을 조사 중에 있다. 해경의 조사 및 수색 결과를 기다려보자. 어머니, 동생과 함께 어려움을 견뎌내기 바라며 위로를 보낸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브리핑에서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씨 아들의 편지가 청와대에 도착하면 직접 답장도 보낼 계획이다.
문 대통령이 희생자 가족에게 위로를 건넨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매우 유감스럽고 불행한 일이 발생했다”며 “희생자가 어떻게 북한 해역으로 가게 되었는지 경위와 상관없이 유가족들의 상심과 비탄에 대해 깊은 애도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한 바 있다.
희생자 이씨의 아들은 앞서 자필로 쓴 편지에서 “아빠가 잔인하게 죽임을 당할 때 이 나라는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왜 아빠를 지키지 못했는지 묻고 싶다”며 “아무것도 모르는 어린 동생과 저와 엄마는 매일을 고통 속에서 살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월북 주장에 대해 “마른 체격의 아빠가 38㎞를 그것도 조류를 거슬러 갔다는 것이 진정 말이 된다고 생각하시는지 묻고 싶다”고 했다.
유족이 이씨의 월북 가능성에 대해 공개 반박하고 있지만, 정부는 여전히 이씨가 월북했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문홍식 국방부 부대변인은 브리핑에서 “해경이 중간 수사결과에서 충분히 그와 관련된 근거라든지 설명을 드린 바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해경의 중간 수사결과를 현재까지는 존중하고 있다”고 했다.
이씨의 형 이래진(55)씨는 이날 서울 용산구 국방부 종합민원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유가족에 대한 추측성 댓글 등 2, 3차 가해를 멈춰달라고 호소했다. 이씨는 “조카의 편지를 전날 미리 언론에 공개했더니 악성 댓글이 계속 달리고 있다”며 “본인의 형제, 아들, 딸이 이런 사고를 당했어도 악성 댓글로 공격하겠나”고 반문했다.
이씨는 기자회견 후 피격 사건 당시 군의 감청·녹화 기록 등에 대한 정보공개를 국방부에 청구했다. 청구 대상은 지난달 22일 오후 3시30분부터 같은 날 오후 10시51분까지 군 녹음파일과 같은 날 오후 10시11분부터 10시51분까지 북한군이 피격 공무원의 시신을 훼손하는 장면을 촬영한 녹화파일이다.
유족 측 법률대리인 김기윤 변호사는 “유가족이 직접 피격 공무원의 목소리를 들어보고, 총구 앞에서 이씨가 진정 월북 의사를 밝혔는지 여부를 파악할 것”이라며 청구 경위를 설명했다. 유족 측은 군이 자료 공개를 거부할 시 행정소송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족 측은 앞서 서울 종로구 유엔인권사무소도 찾아 이씨의 사망 경위 등을 조사해달라고 요구했다.
임성수 김영선 최지웅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