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제2의 삼성·네이버 키운다…3개년 종합계획 발표

입력 2020-10-06 17:03
박영선 장관이 6일 서울청사 별관에서 진행된 '중소기업 육성 종합계획'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중소벤처기업부가 제2의 삼성, 네이버가 될 3세대 글로벌 혁신기업 육성을 위한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중소·벤처·소상공인의 디지털화를 적극 촉진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아울러 코로나19로 경영 위기에 놓인 소상공인에 대한 경영안정 및 재기안전망을 확충하고, 전통 중소기업 맞춤형 지원도 강화하기로 했다.

중기부는 5일 ‘중소기업 육성 종합계획(2020~2022년)’을 발표하며 ‘글로벌 혁신기업 육성을 통해 세계를 선도하는 디지털 강국 구현’이라는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다. 2017년부터 지난 8월까지 3년간 구축해온 디지털 경제로의 추진기반과 제2의 벤처붐 실현 등의 성과를 토대로 디지털 전환에 더욱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향후 3년간 중소·벤처·소상공인의 디지털화를 반드시 이뤄내 미래 국가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소기업 육성 종합계획(2020~2022년).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먼저 중기부는 코로나19로 달라진 상황을 반영해 기존에 추진해오던 디지털화 촉진 방안에 더해 ‘비대면 중소벤처기업 육성법’ 제정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디지털·비대면 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되는 상황에 따라 비대면 혁신벤처 육성에도 힘을 싣는다는 구상이다. 여기에 기존에 추진해왔던 ‘K-비대면 글로벌 혁신벤처 100’ ‘스마트 대한민국 펀드’ ‘K-유니콘’ 등 3대 핵심 프로젝트도 적극 실행한다. 특히 디지털 전환에 취약한 소상공인을 위해 2022년까지 스마트상점 5만개, 디지털 전통시장 200개 등 소상공인 디지털화 촉진 프로젝트도 계속 추진한다.

지난 8월 중순 이후 코로나19 재확산 등으로 더욱 어려움이 커진 소상공인·전통시장의 위기 극복을 위한 재기안전망과 보호기반 확충도 강화한다. 우선 위기 중소기업을 진단해 적기에 대응하는 ‘중기밀집지역 위기관리 시스템’을 새롭게 도입하기로 했다. 올 4분기부터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중소기업의 유망 신사업 재편 촉진 방안도 마련한다. 아울러 골목상권 보호를 위해 의무휴업일 적용 대상에 복합쇼핑몰을 추가하는 등의 보호제도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굴뚝 제조공장 등 전통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전통시장 맞춤형 지원도 강화한다. 먼저 전통 제조공장의 생산·공정혁신을 위한 스마트공장을 2022년까지 3만개 도입하고, 스마트공방 1600개, 친환경 스마트생태공장 100개 도입도 적극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여기에 지난 6~7월 ‘대한민국 동행세일’에서 중기부가 적극 지원했던 ‘K-라이브커머스’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온누리·지역사랑상품권을 각각 1조원, 3조원 추가로 발행해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활성화를 촉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중기부는 기재부 등 17개 부처와의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국민 참여제도를 통한 정책의 투명성과 참여도를 제고할 것임을 강조했다. 또 디지털·비대면 시대에 걸맞은 비대면 신청 프로세스 도입 등을 통해 정책금융 접근성 및 지원 대상 선별기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정진영 기자 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