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피격 공무원 친형, UN에 북한 만행 진상조사 요청

입력 2020-10-06 14:07 수정 2020-10-06 14:22
북한 피격 사망 공무원 A씨의 형 이래진씨가 6일 서울 종로구 유엔 북한인권사무소를 방문해 전달할 공정한 조사 촉구 요청서를 들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 피격으로 사망한 해양수산부 공무원 이모(47)씨의 친형이 6일 유엔(UN·국제연합)에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조사를 해 달라”며 진상조사요청서를 제출했다.

실종 공무원 이씨의 형인 이래진씨는 6일 오후 서울 종로구 유엔 북한인권사무소에 요청서를 제출했다. 이씨는 요청서에서 “북한이 비무장 민간인인 제 동생을 잔인하게 10여발의 총탄으로 무참히 살해한 사건을 유엔에 알리고 공정하고 객관적인 조사를 요청하고자 한다”며 “많은 생명이 북한의 만행으로 희생됐지만 이번처럼 잔인하고 극악무도한 경우는 없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은 처참한 상황에 경악을 금치 못했다”며 “이 문제가 단순히 피격 사건이 아닌 북한의 만행이 널리 알려져 반복되지 않는 재발 방지를 위한 밑거름이 됐으면 한다”고 주장했다.

이씨는 “전 세계 수많은 자유와 인권수호 국가들이 제 동생의 희생이 값진 평화의 메신저가 되도록 적극적인 동참을 호소한다”며 “북한의 만행을 멈추게 하고 모든 사람에게 보편적 인권이 절대적으로 보장되는 그런 기회가 됐으면 한다”고 했다.


이씨는 이 요청서를 유엔 북한인권사무소를 통해 토머스 오헤아 킨타나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에게 전달할 방침이다. 이씨는 전날 만난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과의 면담과 관련해서는 “(반 전 총장님이) 웜비어 가족 재단과 연대해 그간의 북한 관련 자세한 내용이나 의견을 청취하고 협력하는 게 좋겠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한편 같이 자리한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유엔 차원에서 북한 내 코로나를 이유로 대량 학살이 벌어지는 의혹도 함께 조사해야 한다”고 했다. 하 의원은 “웜비어는 재판을 통해 (북한을) 이겼다”며 “웜비어 사례와 관련해서 (이번 일도) 유사하게 변호사와 협의를 하고 있다. 북한 상대로 소송을 진행할 수도 있다. 한국 정부는 국민 보호 의무를 저버려서 그거 관련 법률적 검토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도 “북한이 이번 사건을 인정했기 때문에 유엔이 이번 사건을 조사할 모든 조건이 갖춰졌다”고 평가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