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입원환자 3분의 1 뇌질환 나타나… 일상 차질”

입력 2020-10-06 10:56 수정 2020-10-06 11:13
자료 이미지=픽사베이

미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환자 3분의 1에서 뇌질환이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여기에서 말하는 뇌질환이란 뇌와 관련한 정신적 질환을 총칭한다. 주의력·집중력 장애, 단기 기억 상실, 혼미, 혼수상태 등이 포함된다.

미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시카고에 있는 노스웨스턴 메디슨병원 연구진은 3월 5일∼4월 6일 코로나19 입원 환자 509명 가운데 3분의 1에서 정신착란, 혼동, 무반응 같은 뇌질환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뇌질환을 겪는 코로나19 환자들의 입원 기간은 대조군(뇌질환이 없는 코로나19 환자들)의 3배에 달했다.

퇴원한 뒤에도 요리, 돈 계산 같은 일상생활이 가능한 비율도 대조군과 큰 차이가 났다. 뇌질환 그룹에서 일상생활에 문제를 겪지 않은 퇴원 환자는 32%였지만 대조군에서는 89%로 나타났다.

특히 뇌질환 그룹이 사망에 이를 확률은 대조군의 7배에 달했다.

연구진은 “뇌질환은 퇴원 후 일상을 돌보는 능력과 관련해 최악의 의료적 결과로 연결된다”고 분석했다. 다만 이번 연구에서 뇌질환이 나타나는 원인은 규명되지 않았다.

이 연구 결과는 ‘임상·중개 신경학 연보’에 실렸다.

기존 연구에서도 코로나 바이러스가 뇌세포를 직접 공격한다는 증거는 거의 나오지 않았다. 다만 염증·면역체계 반응에 따라 뇌를 포함한 장기들이 손상되면서 신경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