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세대 2명 중 1명은 향후 결혼할 의향이 없으며 자녀 출산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구인구직 플랫폼 사람인은 2030세대 1600명을 대상으로 ‘결혼과 자녀 출산에 대한 생각’을 주제로 설문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
조사 결과, 향후 결혼 의향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53.9%는 ‘안 할 가능성이 높다’(47.9%)거나 ‘절대 안 한다’(6%)고 답했다. ‘할 가능성이 높다’는 답변은 46.1%였다.
자녀 출산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경향이 컸다. 응답자 10명 중 8명(80.9%)은 향후 자녀 출산이 ‘부담스럽다’고 했다.
부담스러운 이유로는 ‘자녀를 키우기에 소득이 적어서’(28.1%)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이어 ‘나를 위한 삶을 살고 싶어서’(19.9%) ‘자녀에게 충분히 잘 해줄 수 없을 것 같아서’(18.6%) ‘한국의 치열한 경쟁과 교육 제도 아래서 키우기 싫어서’(12.8%) ‘경력 단절이 우려돼서’(10.5%) ‘육체적으로 너무 힘들 것 같아서’(5.6%) 등 순이었다.
자녀 양육을 걱정 없이 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월급 수준은 평균 731만원(세후 기준, 가구당 월소득)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74.2%가 ‘현실적으로 해당 급여를 받을 수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63.6%는 ‘미래의 자녀가 자신보다 더 나은 삶을 살 수 없을 것’이라고 비관했다.
이러한 부담감은 출산 포기로 이어졌다. 응답자의 37.8%는 자녀를 출산할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 성별로 보면 여성은 무려 45.5%가 출산 의향이 없다고 답해 남성(25%)보다 2배 가까이 높았다.
한편, 원활한 육아와 일의 병행을 위해 직장에서 가장 필요한 것으로는 ‘유연한 근로시간과 형태(재택근무, 유연근무제 활용 등)’(31.5%)가 꼽혔다. 이어 ‘육아휴직 보장과 차별·불이익 금지’(27.1%) ‘높은 급여’(26%) ‘회사에서 제공하는 보육 인프라(어린이집, 보육비 지원 등)’(14.3%) 등의 의견이 이어졌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