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소연평도 북측 해역에서 북한군의 총격에 숨진 해양수산부 공무원 A씨의 고등학생 아들이 ‘월북’이라는 정부 발표가 이치에 맞지 않는다며 부친의 명예를 회복시켜 달라고 문재인 대통령에게 호소하는 편지를 쓴 데 대해 A씨의 형이 안타까운 심경을 전했다.
A씨의 형 이래진씨는 5일 SNS에 “조카의 친필 대통령님께 드리는 호소문을 읽다가 (가슴이) 미어지는 줄 알았다”는 글을 남겼다.
고등학교 2학년이라고 밝힌 아들 B군은 이날 공개된 자필 편지에서 “아버지가 누구보다 가정적이었고 직업에 대한 자부심도 높았다”며 증명되지 않은 이야기들로 가족이 고통받는 현 상황을 바로잡아 달라고 호소했다.
또 “수영을 전문적으로 배운 적 없는 저희 아빠가, 180㎝ 키에 68㎏밖에 되지 않는 마른 체격의 아빠가 38㎞의 거리를, 그것도 조류를 거슬러갔다는 것이 진정 말이 된다고 생각하시는지 묻고 싶다”고 적었다.
B군은 “출동이라는 직업의 특성상 집에는 한 달에 두 번밖에 못 오셨지만 늦게 생긴 동생을 너무나 예뻐하셨고 저희에게는 누구보다 가정적인 아빠였다”고 회상했다.
정부가 A씨가 월북했다고 판단하며 내놓은 설명 중 하나인 ‘A씨의 신상정보를 북한이 파악하고 있었다’는 것에 대해선 “총을 들고 있는 북한군이 인적사항을 묻는데 말을 하지 않을 사람이 누가 있는가”라고 반박했다.
B군은 “지금 저희가 겪고 있는 이 고통의 주인공이 대통령님의 자녀 혹은 손자라고 해도 지금처럼 하실 수 있겠습니까”라며 “시신조차 찾지 못하는 현 상황을 누가 만들었으며, 아빠가 잔인하게 죽임을 당할 때 이 나라는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왜 아빠를 지키지 못했는지 묻고 싶다”고 했다.
이씨 등 A씨 유족은 이날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을 만난 데 이어 6일 유엔 북한인권사무소를 찾는다. 유엔 북한인권사무소에 북한 정권에 의해 피살된 한국 공무원 사건에 대한 유엔의 진상조사 촉구 서한을 전달할 방침이다.
또 A씨 유족 측은 같은 날 오후 국방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방부가 보유한 A씨 피격 당시의 감청 녹음 파일과 녹화 파일의 공개를 신청할 예정이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