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오는 11일까지인 추석특별방역기간 이후 초·중·고교의 등교수업을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방역 당국, 시·도교육청 등과 협의해 이번 주 안으로 확정해 발표하기로 했다. 지역·학교 여건에 따라 오전·오후반을 도입하는 등 거리두기를 유지하면서 등교일을 늘리는 방안이 담길 전망이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5일 “밀집도를 방역 기준에 맞게 지켜나가면서도 특히 초등학교 저학년의 학습격차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등교수업을 확대해야 한다”며 “이번 주 중으로 시·도교육청 의견을 수렴하고 입장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학교 밀집도 기준을 지키면서 지역·학교별 특성에 맞는 탄력적인 학사 운영을 도입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 부총리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 2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추석특별방역기간 이후 초·중등 학교 운영 방안을 묻는 질문에 이 같이 답했다.
교육부는 사회적 거리두기 1단계에서 유·초·중·고·특수 학교 등교 인원을 ‘전교생 3분의 2’, 2단계에선 유·초·중은 ‘전교생 3분의 1’(고교·특수학교는 3분의 2 유지)로 제한하고 있다. 3단계에선 원격수업·휴업을 하도록 한다. 추석특별방역기간이 종료되는 11일까지는 거리두기 2단계에 해당하는 유·초·중학교는 3분의 1 이내, 고교는 3분의 2 이내로 유지하고 있다.
유 부총리는 “등교 수업을 늘리자는 방향에는 시·도교육청, 학교 현장에서 대체로 같은 입장이 아닌가 한다”며 “일부 학교의 경우 오전·오후반을 운영하는 등 실제로 밀집도를 지키면서 등교수업을 확대하는 다양한 방식이 있다”고 안내했다. 다만 정부가 등교수업 확대방안을 내놓더라도 적용 시기는 지역이나 학교별로 다를 수 있다. 유 부총리는 “준비기간을 감안하면 당장 12일부터 등교확대 방안을 적용할 수 있는 학교도 있지만 주 후반에야 가능한 학교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 부총리는 추석특별방역기간 이후 초1과 중1을 매일 등교하도록 하자는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의 제안에는 “교육청, 학교의 의견을 최대한 존중하겠지만 지켜야 할 방역 기준이 있는 것 또한 사실”이라며 유보적 입장을 나타냈다. 또한 “코로나19 백신이 나오더라도 전면 등교까진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 전문가 입장이다. 내년에도 등교·원격수업을 병행해야 하는 상황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교육부는 코로나19 이후 미래교육 전환을 위한 10대 과제를 제시했다. 미래형 교육과정 개편, 새 교원제도 마련, 학생 중심 미래형 학교 조성, 성장 지원 교육안전망 구축, 협업·공유를 통한 대학·지역의 성장, 미래사회 핵심 인재 양성, 고등 직업교육 내실화, 전 국민 전 생애 학습권 보장, 디지털 전환 교육 기반 마련, 협력적 교육 거버넌스 구축 등이다. 유 부총리는 “고교학점제(2025년 전면 도입) 평가 방식을 반영하는 2028학년도 대입제도 개선 기본방향은 문재인정부 하에서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