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정책 주무부처인 통일부에 대한 사이버 공격 시도가 문재인정부 들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근혜정부에 비해 2배 증가한 규모에 달한다. 통일부에 대한 사이버 공격은 북한 소행으로 추정되는 만큼, 문재인정부와의 대화 국면에서도 북한이 지속적인 사이버 공격을 시도한 것으로 보인다.
5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조태용 의원실에 통일부가 제출한 ‘통일부에 대한 사이버 공격 시도 현황’ 자료에 따르면 문재인정부가 출범한 2017년 5월부터 올해 8월까지 통일부를 상대로 총 2122건의 사이버 공격이 이뤄졌다.
이는 지난 박근혜 정부 4년간 통일부를 대상으로 발생한 사이버 공격 시도 총건수 1029건보다 2배 이상 증가한 규모다.
문재인정부 기간 발생한 통일부 대상 사이버 공격 시도는 2017년(5월~) 215건, 2018년 630건, 2019년 767건으로 매년 증가했다. 올해 8월까지만 510건에 달했다.
특히 탈북자 정보 탈취를 목표로 한 사이버 공격이 급증했다. 탈북자 정보 수집이 가능한 시스템 정보수집이 문재인정부 기간 1007건(47.4%) 발생했다. 이는 박근혜정부 기간 동안 발생한 250건의 4배 수준이다. 이어 해킹메일 수신이 852건(40.1%), 유해IP 접속 유도 135건(6.3%) 순이었다.
조 의원은 “문재인정부 들어 탈북민의 정보 탈취를 시도하는 사이버 공격이 급증했다”며 “북한 소행의 가능성이 높은 만큼 통일부는 탈북민 정보와 대북정세분석 정보에 대한 보안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통령 안보특별보좌관을 역임한 임종인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탈북자 정보는 일반 다른 해커들에 아무 도움이 안 되는 만큼, 북한이 했을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고 분석했다.
특히 2018년은 4·27 판문점선언과 9·19 평양공동선언이 있었던 시기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 정상회담이 개최되는 등 남북 간 대화가 활발했었다. 이 같은 대화 국면 속에서도 북한의 사이버 공격은 지속됐던 것으로 추정된다.
통일부는 “해킹과 사이버 공격을 방어하는 보안관제를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발생한 직접적 피해는 없다”고 설명했다. 통일부는 지난 6월 북한을 비롯한 사이버 공격에 대비해 내부 시스템 개편에 돌입했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