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연에 유엔이 속은 것” ‘위안부=거짓’ 주장한 日

입력 2020-10-05 10:55 수정 2020-10-05 11:22
정의기억연대가 유엔 인권이사회에 제출한 입장문 표지. 연합뉴스

일본 우익단체가 유엔인권이사회에서 정의기억연대(정의연) 관련 논란을 언급하며 일본군 위안부 문제 자체를 부정하는 여론전을 펼친 것으로 전해졌다. 정의연은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활동이 국내외에서 거센 공격을 받고 있다”며 유엔에 도움을 요청한 상태다.

유엔인권이사회가 5일 홈페이지에 공개한 제45차 이사회 문서에 따르면 유엔 사무총장은 지난달 22일 정의연이 제출한 입장문을 회람했다. “위안부 피해 생존자이자 인권활동가인 이용수 할머니의 지난 5월 7일 기자회견 이후 정의연이 일본과 한국 우익 미디어, 극우 역사수정주의자들로부터 무차별적인 공격을 받고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

정의연은 문서에서 “일본의 역사수정주의자들은 일본군 성노예 문제를 왜곡하고 공격하기 위해 이 상황을 이용하고 있다”며 “사소한 회계 실수를 ‘부패’ ‘횡령’으로 왜곡하며 정의연 활동을 비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일본 우익단체들이 지난 6~7월 개최된 제44차 유엔인권이사회에 제출한 서한을 사례로 들었다.

일본 우익단체들은 해당 서한을 통해 이용수 할머니의 기자회견과 정의연에 대한 검찰 수사를 거론하며 “유엔인권이사회가 범죄자들에게 속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간 위안부 여성들이 윤미향 전 이사장의 지시에 따라 자신들을 ‘성노예’로 포장했고 유엔에서 거짓 증언을 해 위안부 이슈를 세계 여성의 인권 문제로 둔갑시켰다”는 취지의 주장을 내놨다.

그러면서 “유엔인권이사회가 한국 정부에 이 사안과 관련한 철저한 조사와 결과 보고를 요구해야 한다”며 “유엔 내 인권기구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사실관계를 다시 조사해 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정의연은 “그간 제기된 혐의들은 사실이 아니고 과장된 부분이 있다. 위안부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책임은 일본 정부에 있다”며 “그들이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등을 통해 법적 책임을 피하려고 했으며 한국 정부도 피해 복구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이어 과거 유엔이 일본 정부에 위안부 피해 회복을 위한 노력을 권고한 점을 들며 “위안부 피해자들을 위한 활동에 대한 공격과 관련해 한·일 양국 정부에 우려를 표명해달라”고 요구했다.

문지연 기자 jy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