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도쿄올림픽 관객으로 한정한 외국인 관광객 입국을 허용하는 작업에 들어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으로 올림픽 개최의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관중을 유치하겠다는 포석으로 평가된다.
일본 일간 요미우리신문은 4일 “일본 정부가 올림픽 경기장 입장권을 가진 외국인 관광객에 한해 입국을 허용하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기 시작했다”며 “외국인 관광객이 출입국 과정에서 코로나19 검사를 받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설치해 관리를 받는 방향으로 논의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현재 코로나19의 자국 유입을 억제하기 위해 159개국으로부터 관광 목적의 입국을 불허하고 있다.
일본 정부와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가 부임한 지난달부터 대회의 규모를 축소해서라도 도쿄올림픽을 개최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해 왔다.
스가 총리는 지난달 23일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과 전화회담에서 “우리는 같은 배에 타고 있다”는 말로 양자 간 연계 의지를 나타냈고, 같은 달 26일 유엔 총회 화상 연설에서 “감염병 극복의 증거로 올림픽을 개최한다는 결의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바흐 위원장은 스가 총리와 전화회담 이튿날인 지난 24일 IOC 조정위원회 원격회의에서 도쿄올림픽을 “역사적인 대회가 될 것”이라고 했다. 도쿄올림픽 개막일은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라 당초 예정됐던 지난 7월 24일을 내년 7월 23일로 순연했다. 추가 연기는 곧 취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대회 규모나 관중 입장과 같은 개최 방식을 제외하면 일본 정부와 IOC 사이에서 논의될 사안은 사실상 전무하다.
이런 상황에서 ‘올림픽 티켓’으로 입국을 허용하겠다는 일본 정부의 구상은 무관중 개최 논의를 사전에 차단하려는 의도로 풀이될 수 있다.
일본 정부는 외국인 관광객의 건강 상태를 관리하는 모바일 앱과 별도로 발열센터를 설치할 계획이다. 외국인 관광객이 코로나19 음성 판정을 증명하고 입국·체류에 대한 행정 절차를 완료하면 2주의 자가격리를 면제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