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전의 경제 수준을 회복하는 시기가 내년 하반기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여전히 불확실성이 크지만 한국판 뉴딜, 반도체 수출 호조 등을 통해 반등을 기대해볼 수 있다는 분석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4일 ‘2021년 국내 경제 이슈’ 보고서를 발표하고 “한국 경제가 현재 경기 저점을 확인하는 국면에 있다고 판단된다. 코로나19 이전 경제 상황에 도달하는 시기는 내년 하반기 정도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내 경기는 매우 완만한 ‘비대칭 U자형’ 회복 곡선을 보일 것”이라며 “코로나19의 재확산과 일시적 안정 양상이 반복될 가능성이 크다. 내수는 일정한 경기 추세선을 기준으로 작은 파동이 반복되는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내년 경제 분야 주요 이슈로 최근 풍부하게 공급된 유동성을 꼽았다. “국내 경제 전망을 고려했을 때 통화량 증가가 물가상승률 확대로 이어지지 못하는 ‘역의 관계’가 당분간 유지될 것이다. 최근 확대된 유동성이 기업과 가계 등 실물경제의 과도한 위축을 막고는 있지만 자산 가격을 높여 금융 불균형을 높일 우려도 존대한다”는 설명이다.
또 종사상 지위와 연령 등에 따른 고용 양극화, 소비 양극화도 한국 경제에 영향을 미칠 주요 요소로 꼽았다. 고용 양극화가 코로나19 여파로 내년에도 지속할 것으로 예상돼 이로 인한 소비 양극화가 발생할 우려가 커진다는 전망이다. 다만 비대면 경제의 확산으로 컴퓨터, 반도체, 가전제품 등 관련 수출이 내년에 호조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판 뉴딜이 어느 정도의 성과를 내는지가 경제 회복의 열쇠라고 분석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한국판 뉴딜 정책이 경제 활력을 불어넣는 구원투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투자의 2021년 집행률 수준과 민간의 마중물 투자 여부가 향후 경기 방향성을 결정짓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다만 “신사업 창출 및 민간투자 활성화를 위한 규제 및 사업 환경 개선이 부진할 경우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이 상존한다”고도 덧붙였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이런 분석을 바탕으로 정부는 경제 주체의 생존을 지원하고 민간경제의 활력을 높이는 노력을 이어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홍준표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 불확실성이 있는 상황에서 경제 주체들에 대한 생존 지원이 여전히 중요하고, 민간경제 활력 제고 노력이 지속돼야 한다”며 “정책 추진 및 재정 지출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고 기업 투자를 끌어내기 위한 지원과 규제 개선 등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