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코로나19 일자리’ 1만개 유지·신설

입력 2020-10-04 11:15
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에 맞서 서울 일자리 1만개가 유지·신설된다. 고용취약계층인 무급휴직 근로자와 취업 한파에 시달리는 청년, 취업취약계층인 실직자와 프리랜서 등이 혜택을 받는다.

서울시는 이같은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고용위기 극복대책’을 4일 발표했다. ‘선택과 집중’ 기조에 따라 지원이 가장 시급하고 절실한 3대 취약계층을 상대로 핀셋 지원하는 형태다. 시급성과 재정 여력을 고려해 총 예산 235억원을 들인다.

먼저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라 일하던 업체가 영업 중지‧제한돼 무급휴직할 수밖에 없었던 근로자에게 ‘고용유지지원금’을 지원한다. 총 5500명에게 1인당 최대 100만원을 지원한다. 10월 중 신청접수를 시작해 11월부터 두 달 간 무급휴직 근로자에게 직접 지원한다.

지원대상은 7월 1일 이후 서울지역 50인 미만 기업체에서 5일 이상 무급휴직한 근로자 중 고용이 유지되고 있는 근로자다. 신청은 기업‧업체가 소재한 자치구에 신청서와 증빙서류를 접수하면 된다. 서울시는 지원자 선정기준에 따라 5500명을 일괄 선정해 자치구를 통해 지원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또 신규채용 축소로 취업한파를 겪고 있는 청년들에게 ‘서울형 강소기업’에서 청년인턴으로 일할 기회를 제공한다. 신규채용 계획이 있는 ‘서울형 강소기업’ 200개사에 2명씩 매칭해 총 400명의 청년인턴을 운영한다.

‘서울형 강소기업’은 청년들이 선호하는 조직문화와 고용안정성, 높은 급여수준을 가진 기업으로, 현재 총 661개가 지정돼있다. 서울시가 일·생활 균형, 성평등, 기업역량, 정규직 비중, 임금 수준, 근무 환경, 청년 일자리 창출 가능성 등 일자리 질을 꼼꼼하게 따져 선정한다.

서울시는 청년인턴에게 2개월간 월 250만 원의 급여와, 현직자‧전문가의 코치와 전문상담을 받을 수 있는 직무역량 향상 프로그램을 동시 지원해 현장경험을 집중적으로 쌓을 수 있도록 돕는다.

인턴기간 종료 뒤 기업에서 직접 채용해 실질적인 일자리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기업이 실제로 필요로 하는 청년인턴을 자체 선발하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또, 청년인턴을 정규직으로 채용 시엔 ‘서울형 강소기업’에게 지원하는 근무환경개선금(1인당 1000만원) 외에 인당 200만원의 추가 인센티브를 지급한다.

아울러 서울시는 저소득층, 실직자, 휴‧폐업자, 특고, 프리랜서 등 취업취약계층 4528명에게 공공일자리를 제공한다. 2개월간 주당 40시간 이내로 근무하며, 월 최대 180여만원의 급여가 지원된다.

생활방역 지원, 방역수칙 단속 보조요원,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 등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필요한 일자리를 제공할 계획으로, 현재 정부-서울시-자치구가 협력해 일자리를 발굴 중이다. 10월 중 25개 자치구와 서울시 홈페이지를 통해 개별 사업에 대한 모집공고를 시작한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