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온 노출’ 의심 백신 접종자 자꾸 늘어…2300명 돌파

입력 2020-10-03 20:39
연합뉴스

유통 과정에서 '상온 노출'이 의심돼 접종이 중단된 인플루엔자(독감) 백신을 일선 의료 현장에서 맞은 사람이 2300명을 넘었다.

질병관리청은 3일 배포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사업 관련 참고자료에서 “조사 중인 정부 조달 물량 접종 건수는 2일 기준 2303건(명)”이라고 발표했다.

질병청이 전날 밝힌 2290명에서 하루 새 13명 늘어났다.

당초 질병청은 백신 사용 중단을 발표한 직후인 지난달 22일 문제의 백신 접종자가 1명도 없다고 밝혔으나 9월 25일 이후부터 105명→224명→324명→407명→873명→1362명→1910명→2290명→2303명 등으로 증가하고 있다.

접종자가 나온 지역은 강원과 울산을 제외한 전국 15개 시도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673명으로 가장 많고 광주에서 361명, 전북에서 326명이 나왔다.

이 밖에 인천 214명, 경북 161명, 서울 149명, 부산 109명, 대구 105명, 충남 74명, 세종 51명, 전남 40명, 대전 17명, 경남 14명, 제주 8명, 충북 1명 순이다.

접종 날짜별로 보면 국가 예방접종사업 전인 9월 21일까지 접종한 사람이 142개 의료기관에서 1599명(69.4%)으로 가장 많았다.

질병청이 사업 중단을 고지한 22일 백신을 접종한 사례는 124개 기관에서 458명(19.9%)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이후 23일 23명, 24일 22명, 25일 109명, 26일 40명, 27일 18명, 28일 33명, 29일 1명 등이 사용이 중지된 독감 백신을 접종했다.

질병청은 문제가 된 독감 백신을 접종한 주요 이유로 무료인 정부 조달 물량과 유료인 민간 물량을 분리하지 않고 보관한 관리 부주의를 지목했다.

또 국가 예방접종사업 시작 전에 미리 접종하는 등 지침 미준수, 일부 의료기관에 사업 중단을 전달하지 못한 점 등을 또 다른 이유로 들었다.

한편 상온 노출이 의심되는 독감 백신을 맞고 발열, 몸살 등 이상 반응이 나타났다고 신고한 사람은 더 늘지 않아 현재까지 12명이다.

전국 280곳 의료기관서 문제의 백신 접종

현재까지 상온 노출이 의심돼 조사를 벌이고 있는 백신 물량으로 접종한 병·의원만 하더라도 전국 280곳에 달한다.

질병청은 전날 해당 의료기관이 293곳이라고 발표했으나 중복 집계된 의료기관을 제외한 수치를 새로 발표했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가 93곳으로 가장 많고 이어 광주 45곳, 대구 43곳, 전북 31곳, 서울 18곳, 경북 15곳, 부산·충남 11곳, 인천 9곳, 대전 6곳 순이다.

연합뉴스

질병청은 “관리 부주의 및 지침 미준수 등으로 접종했던 사례들이 파악되고 있어 앞으로 이를 포함해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개선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공문, 의료기관장에게 개별 문자 발송, 예방접종등록시스템 공지, 보도자료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반복적으로 사업 중단을 안내해 해당 백신이 접종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질병청은 국가 조달 물량을 공급하는 업체인 신성약품이 백신을 배송하는 과정에서 냉장차의 문을 열어놓거나 제품을 바닥에 내려놓는 등 냉장유통(콜드체인) 원칙을 지키지 않은 사실을 확인하고 지난 21일 밤 사업 중단 방침을 발표했다.

문제가 된 백신은 신성약품이 정부와 조달 계약을 맺은 총 1259만 도즈 가운데 약 578만 도즈, 즉 578만명분이다. 이는 지난달 22일부터 시작될 13∼18세 학령기 아동 접종과 10월 중순 62세 이상 어르신 접종에 쓰일 예정이었다.

이성훈 기자 tell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