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경찰청은 서해 북단 소연평도 해상에서 실종됐다가 북한에 사살된 해양수산부 공무원에 대해 “월북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해양경찰청은 이날 오전 언론 브리핑을 열고 지난 21일 실종된 해수부 서해어업지도관리단 소속 어업지도원 A씨(47)와 관련해 군 당국으로부터 확인한 첩보 자료와 표류 예측 분석 결과 등을 토대로 이같이 판단했다고 밝혔다.
윤성현 해경청 수사정보국장은 “어제 수사관들이 국방부를 방문해 확인했다”며 “실종자는 북측 해역에서 발견될 당시 탈진한 상태로 부유물에 의지한 채 구명조끼를 입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실종자만이 알 수 있는 이름, 나이, 고향, 키 등 신상 정보를 북측이 소상히 파악하고 있었고 그가 월북 의사를 밝힌 정황 등도 확인됐다”고 전했다.
해경은 A씨가 구명조끼를 입고 있었던 점을 고려할 때 어업지도선에서 단순히 실족했거나 극단적인 선택을 시도했을 가능성은 매우 작은 것으로 판단했다.
해경은 또 지난 21일 A씨가 실종됐을 당시 소연평도 인근 해상의 조류와 조석 등을 분석한 ‘표류 예측’ 결과도 그의 월북 정황을 뒷받침한다고 설명했다.
A씨가 실종 당시에 단순히 표류했다면 소연평도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돌면서 남서쪽으로 떠내려갔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실제 발견된 위치와는 상당한 거리 차이가 있었다는 것이다.
윤 국장은 “인위적인 노력 없이 (소연평도 인근 해상에서) 실제 발견 위치까지 (단순히) 표류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실종 전 탔던 어업지도선 무궁화 10호 내 CCTV에는 A씨가 실종되기 전날인 지난 20일 오전 9시2분까지 동영상이 저장돼 있었다. 해경은 저장된 동영상 731개를 분석했지만 A씨와 관련한 중요한 단서는 찾지 못했다.
동료 진술 등을 토대로 무궁화 10호에서 발견된 슬리퍼는 A씨의 소유로 확인됐지만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 유전자 감식을 진행 중이라고 해경은 전했다.
윤 국장은 “해경 수사팀은 실종자가 북측 해역에서 발견될 당시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있었고 북측에서 실종자의 인적사항을 소상히 알고 있었으며 북측에 월북 의사를 표명한 정황, 실종자가 연평도 주변 해역을 잘 알고 있었다는 점 그리고 표류 예측 분석 결과 등을 종합해 볼 때 실종자는 월북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경은 지금까지 확인된 사항과 현재 진행 중인 CCTV 감식, 인터넷 포털 기록과 주변인 추가 조사, 필요할 경우 국방부의 추가 협조 등을 통해 수사를 계속 진행할 계획이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