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모든 구글 앱·콘텐츠에 수수료 30% 물린다

입력 2020-09-29 10:02 수정 2020-09-29 10:11
뉴시스

구글이 자사 앱 장터에서 팔리는 모든 앱과 콘텐츠 결제 금액에 30% 수수료를 적용하는 방안을 내년 중에 강행하기로 했다.

구글은 29일 “구글플레이를 통해 배포되는 앱 가운데 디지털 재화에 대한 ‘인앱결제’(IAP·앱 내 결제)를 제공하는 앱은 구글플레이 결제 시스템을 이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구글플레이에 새로 등록되는 앱은 내년 1월 20일부터, 기존 앱은 내년 10월부터 구글플레이 인앱결제가 의무 적용된다. 이는 구글플레이에서 결제되는 사실상 모든 금액에 30% 수수료가 적용된다는 뜻이다.

현재 구글은 게임에서만 인앱결제를 강제 적용하고 있다. 다른 앱에서는 자체 결제 수단을 일부 허용해주고 있지만, 내년부터는 다른 수단이 배제된다. 구글은 “이는 지속적인 플랫폼 투자를 가능케 하며 이런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구글플레이와 개발자의 동반성장을 추구한다”고 말했다.

한국모바일산업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구글플레이 결제 금액은 5조9996억원으로, 시장 점유율은 63.4%에 달한다. 구글플레이가 수수료 30% 정책을 전면 적용하면 국내 앱·콘텐츠 가격도 인상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국내 IT업계와 전문가들은 “구글이 인터넷산업 생태계를 독점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며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국내 인터넷업계 종사자와 대학 교수 등 전문가 10명 중 8명(79%)은 구글의 방침이 불공정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한국인터넷정보학회가 최근 IT분야 교수와 관련 기관 종사자 9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구글의 인앱결제 강제 정책에 대해 32%는 ‘전혀 공정하지 않다’, 29%는 ‘공정하지 않다’, 18%는 ‘대체로 공정하지 않다’라고 답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