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생존수영 수업, 학생 절반만 받아…수영장도 70곳뿐

입력 2020-10-03 06:00
어린이들이 서울 여의도 한강수영장에서 인천해양경찰로부터 생존수영 교육을 받고 있는 모습. 뉴시스

지난해 초등학생 중 생존수영 교육을 받은 학생이 2~6학년 전체 대상 학생의 54.2%인 123만 2601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영장은 전국 초등학교 6087개 중 1.1%인 70개교에만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생존수영 교육을 받더라도 연평균 수업 시간이 10시간42분에 그쳐 실질적인 생존 수영 수업 이수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은 최근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초등 생존 수영 교육 현황’을 분석해 이같이 주장했다. 세월호 참사 이후 추진된 생존 수영 교육에 참여한 초등학생 비율은 2016년 38.7%에서 2017년 59.6%로 크게 늘었으나 이후부터는 두 해 연속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가 배포하는 ‘초등학교 생존 수영 교육 매뉴얼’에 따르면 연간 10시간 이상 수영 실기 교육시간 편성이 권고된다. 하지만 지난해 광주에서는 세계수영선수권대회 개최로 수영장 교육에 어려움을 겪은 까닭에 평균 5시간45분 수업 이수에 그쳤다. 또 3~6학년은 입수 준비부터 뜨는 방법, 근거리 잠영 이동 등 18개 프로그램을 10시간 이내에 모두 숙지해야 하는데 현장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015년부터 개방형다목적체육관(수영장형) 건립지원 사업으로 초등학교 수영장 건립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2015년 5곳을 모집하는 이 사업에 3개 학교만 공모하는 데 그쳤다. 이듬해부터는 사업 자체가 진행되지 않다 2018년부터 매년 3곳만 공모하고 있다. 방과 후 수영장 개방 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책임 소재가 학교장에 있다는 데서 학교들이 건립을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

김 의원은 “수영장이 부족한 만큼 민간 수영장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국가에서 지원하거나 방학 과제로 수영 강좌를 수강하도록 지침을 만드는 등 코로나19 이후에 생존 수영 수업이 제대로 재개될 수 있도록 정책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또 개방형다목적체육관 건립 지원 사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방과 후 개방에 대한 학교장의 책임 소재를 줄여주는 방법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