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강의 나주 죽산보를 해체하고 광주 승촌보는 상시 개방하자는 여론이 커지고 있다. 이명박 정부 당시 4대강 사업으로 추진된 2개 보의 운명이 엇갈리게 될 처지에 놓였다.
영산강·섬진강유역물관리위원회(유역물관리위원회)는 “28일 오후 광주 서구 나라키움 광주종합청사에서 열린 제3차 본희의에서 ‘죽산보 해체 승천보 상시 개방’ 단일 의견안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유역물관리위원회는 단일 의견안을 대통령 직속 국가물관리위윈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국가물관리위원회는 유역물관리위원회의 의견을 참고해 죽산보 해체와 승촌보 상시 개방 여부를 최종 결정하게 된다.
이로써 영산강 보 처리방안을 두고 지역의견을 수렴해온 절차는 1년여 논의 끝에 마무리됐다.
유역물관리위원회의 의견은 환경부 4대강 조사·평가 기획위원회가 앞서 지난해 2월 제시한 방안과 동일하다.
4대강 조사· 평가 기획위원회는 승촌보는 상시 개방하고 건설에 1635억 원이 투입된 죽산보는 해체하는 방안을 정부에 권고한 바 있다.
4대강 기획위는 수질과 생태 개선, 유지와 관리비용 절감 등 편익이 제반 비용을 넘는다며 가동보와 고정보, 부대시서 등 모든 시설을 철거하는 죽산보 해체를 제시했다.
반면 광주 남구 승촌동과 나주 노안면을 연결하는 교량 역할도 하는 승촌보는 막대한 비용을 들여 철거하는 게 오히려 손해라고 분석했다.
이날 유역물관리위 제3차 본회의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참석 인원을 50명으로 제한해 개최했다.
지난 2019년 9월 출범한 유역물관리위원회는 유역 단위 물 관리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유역 내 물 이동 등을 심의·의결하는 역할을 하는 기구다. 21명의 민간위원과 당연직 담당자 등 모두 38명으로 구성됐다.
죽산보 해체와 승촌보 상시개방 추진과 관련한 지역 환경단체의 반응은 엇갈리고 있다.
영산강재자연화시민행동 등은 “승촌보도 죽산보와 마찬가지로 해체해야 한다. 보를 헐어야 강이 산다”고 주장했다. 반면 죽산보 철거 반대 투쟁위원회는 “가뭄 대책도 없고 진정성도 없는 이번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발했다.
농민들은 “보 해체와 상시 개방이 물 부족으로 이어져서는 안된다”며 “여론수렴 과정에서 지역민이 배제됐다”고 밝혔다.
3차 본회의에 참석한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물 이용 대책과 실현 계획을 충분히 살펴 국가물관리위원회에서 최종 방안을 결정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