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 노동자를 해고하는 대신 직업훈련을 시키면 인건비와 4대 보험료 등을 지원하는 새로운 형식의 직업훈련이 전국 최초로 경남에서 본격화한다.
경남도는 이번 사업 도입으로 내년 말까지 7800여명의 좋은 일자리를 지켜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고용노동부와 경남도는 28일 경남도청에서 ‘지역특화형 긴급 직업훈련 시범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지역 주력산업의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이재갑 고용노동부장관과 김경수 도지사를 비롯해 송도근 사천시장, 변광용 거제시장, 이성근 대우조선해양 사장, 남준우 삼성중공업 사장, 안현호 한국항공우주산업 사장, 배규식 한국노동연구원장, 류조원 민주노총 경남지역본부장, 정진용 한국노총 경상남도본부 의장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지역특화형 긴급 직업훈련 시범사업’은 사업주가 노동자를 해고하거나 무급휴직 등으로 전환하지 않고 직업훈련을 시행하면 인건비와 훈련비, 4대 보험료를 지원한다.
사업 기간은 올해 10월부터 내년 12월까지다. 도는 고용 유지를 위한 이 같은 교육이 주력산업 숙련 노동자 이탈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경남 제조업 경쟁력을 향상하는 데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훈련 기간 인건비와 훈련비는 고용노동부가 고용보험기금을 통해 지원한다. 경남도와 시·군은 사업주의 4대 보험료 부담분 절반을 지원한다.
지원대상은 도내 조선, 항공, 자동차, 기계 분야 500인 이하 사업장이다. 참여를 희망하는 사업장은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현대로템, 두산중공업, STX조선해양, 건화, 삼강앰엔티, 한국항공우주산업, 대동공업, 한국폴리텍 창원·진주캠퍼스, 경남대, 인제대 등 도내 13개 공동훈련센터와 함께 하루 6시간 이상, 최소 4주 기간의 직무향상 훈련 프로그램을 수립해 산업인력공단으로 신청하면 된다.
경남도는 지난달 사전 수요조사를 시행한 결과, 창원시와 진주시, 사천시, 거제시, 김해시, 함안군, 고성군, 산청군 등 8개 시·군 214개 업체에서 7831명이 참여했다고 밝혔다.
이재갑 장관은 “직업훈련 정책이 위기 때마다 우리 사회·경제가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는 하나의 계기를 마련해왔다”면서 “이번 시범사업이 전국으로 널리 확산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경수 지사는 “기업이 숙련 노동자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유급 휴직과 직업훈련을 연계한 프로그램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고용을 유지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제조업 혁신의 또 다른 기회로 삼겠다”고 했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