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댐’을 바탕으로 불법복제품을 적발하는 인공지능 기술의 개발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관세청은 28일 대전테크노파크에 ‘인공지능(AI) 불법 복제품 판독 실증랩’을 개소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행사 운영지침에 따라 진행된 이날 개소식은 AI 기업 대표, 정부·지자체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대전테크노파크 디스테이션 12층에 문을 연 실증랩은 총 288㎡ 규모다. 내부에는 대형 사이즈 제품 촬영을 위한 공용 스튜디오, 데이터 관리·학습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서버, 스토리지, 학습 서버 등이 들어섰다.
또 디자인을 모방한 위조상품을 식별할 수 있도록 진품의 사진, 도면 등 관련 데이터를 가공·학습할 수 있는 시설과 장비도 제공한다.
각 데이터가 기업의 핵심 지식재산인 만큼 강화된 보안시설과 통신망, 보다 정교한 보안시스템이 적용됐다.
실증랩은 방대한 양의 실제 데이터를 학습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각 기업이 데이터를 학습에 활용하면 시스템을 고도화할 수 있다. 또 데이터 가공 및 학습, 실증작업 등을 다수의 기업이 동시에 수행 가능하다.
서철모 대전시 행정부시장은 “AI 불법 복제품 실증랩을 통해 AI 기업들이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며 “대전시의 창업·성장 지원 프로그램 등과도 연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AI 불법복제품 판독 사업은 디지털 뉴딜의 대표 과제 중 하나인 데이터 댐을 기반으로 한다.
관세청이 관세·물류 등 방대한 양의 데이터(데이터 댐)를 제공하면, 과기정통부는 참여 기업들의 안전한 데이터 학습을 지원한다.
각 기관은 이번 실증랩 구축을 시작으로 AI개발·실증랩 운영 등에 2023년까지 총 227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AI 불법 복제품 판독시스템이 개발되면 지식재산권 침해 사례가 대폭 줄며 국내 산업에 대한 보호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국내 AI 기업들이 확보하기 어려웠던 데이터를 실증랩에서 학습하며 관련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시는 내다보고 있다.
강도현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오늘 실증랩 개소식을 계기로 디지털 댐 기반의 혁신적 AI 서비스 개발이 본격화될 것”이라며 “앞으로 통관 분야뿐만 아니라 의료,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로 AI 융합을 확산시키겠다”고 밝혔다.
이석문 관세청 통관지원국장은 “세관 검사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불법복제품 판독시스템 개발을 적극 지원하겠다”며 “불법복제품으로부터 국내제조산업과 소비자를 보호하겠다”고 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