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상황이 악화돼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가 시행되더라도 대학수학능력시험과 대학별평가는 예정대로 치러진다. 수능 시험 때 수험생 밀집도를 낮추기 위해 시험장 수를 대폭 늘리기로 했다. 수능 일주일 전부터 고교는 전면 원격수업으로 전환되고, 자가격리 수험생도 대학별평가를 볼 수 있도록 전국 8개 권역에 별도시험장을 마련하기로 했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최교진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회장(세종시교육감)은 2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이런 내용의 ‘2021학년도 대입 관리계획’을 발표했다. 유 부총리는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에서도 수능 응시를 집합금지 예외사유로 인정하기로 했다”며 “대학별평가도 집합금지 예외사유로 인정된다”고 말했다. 거리두기 3단계 상황에서도 오는 12월 3일 수능과 대학별로 시행하는 논술, 면접, 실기평가 등을 예정대로 시행한다는 의미다.
교육부 관계자는 “거리두기 3단계여도 다양한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1000~2000명 나오는 상황이라면 어쩔 수 없지만 11월 이후 코로나19 상황이 어떻게 될지 예측할 수 없다”라며 “그런 불확실성에 대응해 최대한의 관리 체계를 만들어 예정된 시험일을 준수하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시험 여건을 저해하는 불확실성 대응에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불확실성 요인으로는 코로나19 발생 규모, 인플루엔자 유행 가능성, 지진·폭설을 지목했다. 코로나19 확진자 증가 시에는 확진·격리자 별도 시험장 확보, 인플루엔자와 코로나19 동시 유행 시에도 별도 시험실을 만드는 방안을 제시했다. 지진·폭설같은 돌발 상황이 특정 지역에서 발생할 경우 예비시험장 및 수험생 수송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다음 달 중에 수능을 치르기 위한 여건을 마련하고 11월에는 집중 관리에 들어간다. 또 수능 시행일 1주 전(11월 26일)부터 고1~3학년은 원격수업으로 전환한다. 수험생이 외출을 최대한 자제하고 생활방역 수칙을 준수하도록 한다. 별도시험장 확보 및 병원·생활치료센터 내 수험환경 조성, 수험생 및 시험관계자 보호조치 등을 시행한다. 수험생 밀집도를 낮추기 위해 일반시험실을 4318개 더 만들고, 유증상자 시험실 7855개, 격리자시험실 759개를 새로 만들기로 했다.
시험감독 및 방역 등 관리요원은 3만410명 증원한다. 시험 감독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감독자용 의자를 배치하되 부정행위 방지에 만전을 기하도록 할 방침이다.
대학별평가 관리 방안도 발표됐다. 자가격리 수험생을 지원하기 위해 전국을 8개 권역으로 나누어 별도고사장을 설치하기로 했다. 8개 권역은 서울, 경인, 강원, 충청, 전라, 대경(대구·경북), 부울경(부산·울산·경남), 제주다. 별도고사장은 다음 달부터 격리자 수험생 추이를 고려해 배치하기로 했다.
유 부총리는 “올해 수능은 정부 전체의 선제적인 방역 조치와 국민들의 따뜻한 배려와 방역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다. 차질 없도록 응시환경, 방역환경 조성을 위해 범정부적으로 대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