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들이 내 등록금으로 룸살롱” 고대생 분노 성명

입력 2020-09-28 10:29 수정 2020-09-28 10:55

고려대 총학생회가 최근 교육부 감사 결과 일부 교수들이 학생 등록금으로 조성된 돈으로 강남 ‘룸살롱’을 다닌 사례 등이 적발된 것과 관련해 학교 측의 사과와 재발방지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28일 고려대에 따르면 총학생회는 전날 성명문을 통해 “교육부의 종합감사 결과 38건의 지적사항이 밝혀졌다”면서 “총학생회는 결과에 있어 학교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총학생회는 “그간 학교는 항상 자금 부족의 논리로 고질적 공간문제, 열악한 실험실습환경, 부족한 강의 등을 비롯한 산적한 문제들을 해결하지 않았다”면서 “그러나 교육부 감사결과 지적된 사항들은 학교의 방만한 재정 운용의 민낯을 보여줬다”고 꼬집었다.

아울러 “지난해 우리는 과정의 공정이 무너진 것에 분노했다”면서 “학교는 과정의 공정을 심각히 해할 수 있는 ‘교수-자녀 간 강의수강’에 대해 신고 제도를 엄격히 운용하지 않았다”고 했다.

총학생회는 “심지어 이번에 2019학년도 내용으로 지적된 사항은 우리가 들었던 촛불이 본교의 교원들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갔는지를 방증했다”면서 “공정을 최우선의 화두로 생각하는 젊은 고대생들의 눈높이에 부합하지 않는 본교의 윤리의식은 재고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고려대 일부 학생들은 이 학교를 졸업한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딸과 관련, “조 장관 딸이 제1저자로 등재된 논문이 학회에서 공식 취소됐는데, 해당 논문은 (조 장관 딸의) 고려대 입학에 크게 기여했다고 한다. 날조·조작된 자기소개서로 사기 입학한 조 장관 딸의 입학을 즉각 취소해야 한다”며 촛불시위를 한 바 있다.

총학생회는 “학교는 이미 지적받은 사항에 대한 징계를 이행하지 않거나 회계 감사 이후에도 부적절한 교비 집행을 개선하지 않으며 학교를 비윤리적으로 운영하는 행태를 보였다”면서 “이번 사태로 고려대의 이름에 부끄러운 역사가 됐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적사항 조치 이행 ▲학교의 사과 ▲문제 경위 설명 ▲재발방지대책 마련 등을 주문했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24일 고려대를 운영하는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과 고려대에 대한 종합감사를 벌인 결과 38건의 지적사항을 적발하고 이 중 2건은 수사기관에 수사를 의뢰하고 1건은 고발 조치했다. 교육부가 고려대를 종합감사한 것은 개교 이래 처음이다.

종합감사 결과 교수 등 교원 13명이 서양음식점으로 위장한 강남의 한 유흥업소를 찾아 연구비 수천만원을 수십 차례에 걸쳐 사용한 사실이 적발됐다. 이 유흥업소는 여성 접대부가 나오는 ‘룸살롱’이었다. 교육부는 중징계 조치했다.

또 최근 3년간 체육특기자 전형에서 모집 요강과 달리 예정에 없던 5명을 선발한 사실도 적발해 교육부가 수사를 의뢰했다. 일반대학원 26개 학과에서 입시서류 자료를 보관하지 않고 있어 관계자를 수사 의뢰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