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피격 사망’ 공무원 8일째 수색…‘월북 가능성’도 수사중

입력 2020-09-28 09:14 수정 2020-09-28 10:14
26일 인천시 옹진군 소연평도 인근 해상에서 해양경찰이 해양수산부 서해어업관리단 소속 공무원 A(47)씨의 시신과 소지품을 찾는 수색 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인천해양경찰서 제공)

서해 북단 소연평도 해상에서 실종됐다가 북한군에 피격돼 사망한 해양수산부 공무원 이모(47)씨 시신을 찾기 위한 수색이 8일째 이어졌다.

인천해양경찰서는 지난 21일 실종된 해수부 서해어업지도관리단 소속 어업지도원 이씨의 시신과 소지품 등을 찾기 위해 연평도 인근 해상을 집중적으로 수색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해경은 북쪽 해상에서 피격돼 숨진 이씨 시신이나 소지품이 서해 북방한계선(NLL) 남쪽 지역으로 떠내려올 가능성에 대비해 연평도 서쪽부터 소청도 남쪽까지 가로 96㎞, 세로 18.5㎞ 해상을 8개 구역으로 나눠 해군과 함께 수색 중이다.

이날 집중 수색에는 해경과 해군 함정 29척, 어업지도선 9척 등 선박 38척과 항공기 5대가 투입됐다. 해경은 500t급 함정 4척, 300t급 3척, 소형 함정 6척 등 13척과 항공기 2대를 투입하고 해군은 초계함 2척, 고속함 2척, 고속정 7척, 고속단정(RIB보트) 5척 등 16척과 항공기 3대를 투입했다. 인천시 옹진군과 충남도 등 지방자치단체 소속 어업지도선 9척과 연평도 어선 등도 수색에 동원됐다. 해경과 해군은 전날 오후 6시부터 함정 등 22척을 투입해 밤샘 수색 작업을 벌였으나 별다른 성과는 없었다.

이씨의 실종 전 행적도 조사하고 있는 해경은 그의 자진 월북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지만, 관련 정황을 찾지 못해 수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 전남 목포에 있는 서해어업지도관리단의 직원 숙소를 찾아 이씨의 개인용 컴퓨터가 있는지도 확인했으나 찾지 못했다.

해경은 현재 그가 마지막에 탄 어업지도선 무궁화 10호와 그가 3년간 근무했던 무궁화 13호의 공용 PC에 대해서도 북한 관련 검색 기록이 있는지 등을 확인하기 위해 디지털 포렌식을 하고 있다. 디지털 포렌식이 마무리되면 이씨가 실종되기 사흘 전부터 고장난 무궁화 10호 내 CCTV 2대와 함께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분석을 의뢰할 계획이다.

해경은 앞서 국방부의 발표 내용을 토대로 이씨가 실종 당시 구명조끼를 입고 있었다고 밝혔었으나 실제 착용 여부를 다시 확인하고 있다.

해경 관계자는 “오늘 시신 수색에 투입된 선박이나 항공기 수는 어제와 비슷하다”며 “해군과 함께 집중 수색을 하고 있고, A씨의 실종 전 행적도 계속 수사 중”이라고 말했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