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투자가 공매도 1위는 삼성전자”

입력 2020-09-28 07:21 수정 2020-09-28 09:55
사진=뉴시스

국내 증시에서 기관투자가가 공매도를 가장 많이 한 종목은 삼성전자로 나타났다.

28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광온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공매도 금지 후 주식시장 공매도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 16일부터 8월 말까지 기관투자가의 일평균 공매도 금액은 204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기관의 공매도 상위 종목을 살펴보면 삼성전자가 일평균 26억30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씨젠 24억원, 카카오 10억9000만원, 셀트리온 9억4000만원, 셀트리온헬스케어 5억2000만원, SK하이닉스 3억7000만원, 아모레퍼시픽 3억5000만원, 삼성SDI 3억4000만원, 두산인프라코어 3억3000만원, SK 3억2000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지난 3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주식시장이 불안해지자 9월 15일까지 한시적으로 공매도를 금지했다. 이후 공매도 금지 기간을 6개월 더 연장했다.

다만 시장조성자(12개 국내 증권사)는 유동성이 부족한 종목에 매도·매수 호가를 내 거래가 원활해지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공매도 금지 예외 대상이었다.

공매도는 주가 하락이 예상될 때 주식을 일단 빌려서 판 뒤 주가가 내려가면 주식을 사서 갚는 방식으로 차익을 실현하는 투자기법이다.

개인투자자와 비교해 정보 접근성과 자본 동원력이 월등한 기관과 외국인투자자에게 유리한 ‘기울어진 운동장’이라는 지적과 함께 공매도가 주가 하락을 부추긴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됐다.

지난 1월부터 공매도 금지 전까지 일평균 공매도 금액은 6542억원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이 3604억원(55.1%)으로 절반 이상이었고, 기관과 개인의 공매도 금액은 각각 2860억원(43.7%), 78억원(1.2%)이었다.

이 기간에도 공매도 종목 1위는 삼성전자였다. 일평균 공매도 금액은 575억1000만원이다.

이어 아모레퍼시픽(183억3000만원) LG화학(168억6000만원) 셀트리온(148억7000만원) SK하이닉스(131억원) 삼성전기(121억5000만원) 포스코(100억7000만원) 셀트리온헬스케어(98억8000만원) SK이노베이션(93억1000만원) 삼성SDI(92억4000만원) 순이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