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휴를 이틀 앞둔 28일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2주간의 ‘추석 특별방역기간’이 본격적으로 시행된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여전히 100명 안팎으로 나타나고 있는 상황에서 이 기간이 코로나19 재확산 여부를 가르는 중대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이날부터 다음 달 11일까지 2주간을 ‘추석 특별방역기간’으로 정하고 관련 방역 대책을 실시할 예정이다.
우선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내용 중 핵심 방역 조치가 전국적으로 적용된다. 실내 50인, 실외 100인 이상 집합이나 모임, 행사 등은 열 수 없다. 추석을 맞아 마을잔치나 지역축제, 민속놀이 대회 등도 마찬가지다. 프로야구 등 스포츠 행사는 무관중 경기로 진행해야 한다.
목욕탕이나 중소형 학원, 오락실, PC방 등 다중이용시설은 마스크 착용, 출입명부 관리 등 핵심 방역수칙을 의무적으로 지켜야 한다. PC방은 미성년자 출입이 금지되며 좌석 한 칸 띄어 앉기 상태에서 음식 판매·섭취가 가능하다.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기간에 중단됐던 박물관이나 미술관 등 실내 국공립 시설은 다시 문을 연다. 다만 이용 인원은 평상시 대비 절반 수준으로 제한한다.
추석연휴 기간 인파가 몰릴 가능성이 높은 전통시장과 관광지 등은 방역수칙을 지키면 운영할 수 있다. 정부는 유명 관광지에 3200여명의 방역요원을 배치할 예정이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역별로는 별도의 방역 조치도 추가로 적용된다. 수도권 지역은 고위험 시설 11종의 집합금지 등 기존 조치를 다음 달 11일까지 계속 적용한다.
또 교회는 소모임과 식사가 금지되며 비대면 예배를 원칙으로 한다. 카페를 포함한 음식점은 테이블 간 거리두기, 좌석 띄어 앉기 등을 반드시 준수해야 하며 마스크 착용, 출입명부 관리 등도 의무화된다.
영화관이나 공연장은 좌석 한 칸 띄어 앉기, 놀이공원이나 워터파크는 사전예약제 등을 통해 이용 인원을 절반 수준으로 제한해야 한다.
비수도권 지역은 고위험 시설 중에서도 위험도가 높은 유흥주점, 콜라텍, 단란주점, 감성주점, 헌팅포차 등 5종의 유흥시설과 방문판매 등에 대해 2주간 집합금지 조치를 실시해야 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전 국민의 사회적 거리두기 노력에 힘입어 지난 13일부터 26일까지 최근 2주간 국내 코로나19 일평균 신규 확진자 수는 91.5명으로 직전 2주간(176.5명)보다 85명 감소한 상태다.
그러나 국내 코로나19 주요 발생 양상을 보면 수도권 직장과 병원, 어린이집, 방문판매, 노인 관련 시설 등을 중심으로 산발적 집단감염이 계속 나타나고 있다. 전날 신규 확진자는 95명으로 다시 세 자릿수에 육박하기도 했다.
특히 최근 2주간 감염 경로를 알 수 없어 ‘조사 중’인 비율은 21.0%로 직전 2주간(19.7%)보다 증가했다.
여기에 방역망 내 관리 비율도 80% 미만으로 나타나 방역 당국이 파악하지 못한 지역사회의 잠복감염이 상당수 존재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도 나온다.
중대본도 “현재는 코로나19의 대규모 유행을 차단하고 점차 안정화돼 가는 상황이지만 잠복감염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추석 등이 포함된 앞으로 2주간의 방역 관리에 따라 올해 하반기 코로나19 유행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고향 방문이나 여행 같은 이동 자제, 다중이용시설 이용 최소화 및 방역수칙 준수 등 추석 특별방역기간 동안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에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당부한다”고 밝혔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