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군에 의해 사살된 해양수산부 공무원 이모(47)씨의 형 이래진(55)씨는 정부·여당이 아닌 야당과 면담을 가진 데 대해 “지난 24일 여야 가릴 것 없이 10여명 넘는 국회 국방위원회 의원실에 문의했지만 응답 전화가 온 것은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 한 명뿐이었다”며 그 이유를 밝혔다.
그는 또 자신의 동생이 북한군에 의해 발견되고 사살되기까지 6시간 사이에 우리 군 관계자가 어업지도선 선장에게 구명조끼 유실 여부부터 물어봤다고 주장했다. 군 당국이 구조보다는 ‘월북 프레임’을 끼워 맞추기에 급급했다는 게 이씨 주장이다. 그는 이와 관련해 정부 및 군 당국의 책임을 묻는 법적 조치도 검토하겠다고 했다.
이씨는 27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하태경 의원을 제외하고는 여당은 물론 정부에서도 지금까지 단 한 명으로부터의 연락도 없었다”며 “제가 유족으로서 동생 사건과 관련해 의문점을 국방위 의원과 통화하고 싶다는 메시지를 남겼는데도 모두 외면했다”고 말했다. 해양수산부 장관 명의로 위로 서한을 동생 아내에게 보낸 것이 전부라고 했다.
하 의원과 이씨의 통화 이후 국민의힘은 26일 오전 ‘북한의 우리 국민 살해 만행 진상조사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이씨의 비공개 면담을 주선했다. 이씨는 김 위원장을 만난 자리에서 남북한 공동으로 동생의 시신을 수색할 것과 정확한 사건 경위에 대한 진상조사, 관련자의 처벌을 요청했다. 그날 오후에는 한기호 국민의힘 의원 등이 해양경찰청을 방문해 사건 경위 조사에 나서기도 했다.
이씨는 동생이 북한군으로부터 발견된 22일 오후 3시30분부터 6시간 사이에 군 관계자로부터 사고 선박 선장에게 구명조끼의 유실 여부를 묻는 전화가 걸려왔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동생이 살아있던 순간조차도 우리 군은 구조보다는 동생의 월북 프레임을 하나하나 짜 맞추고 있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어업지도선은 선박 간 이동이 많아 구명조끼 개수를 정확히 인지할 수 없다며 구명조끼 착용을 이유로 월북을 주장할 수는 없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이씨는 동생 구조에 실패한 정부 및 군 당국의 책임을 묻고자 수사기관 고발도 검토하겠다고 했다. 정부가 공무원인 동생의 구조 실패는 물론 명예도 훼손했다는 이유에서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현재 조사 중인 사안으로 차분한 대응 기조를 유지한다는 입장이다. 야당의 긴급현안질의 등 요구를 거부한 채 국회 국방위원장인 민홍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남북 공동조사로 사실관계를 밝혀야 한다”고 언급했다.
김동우 정우진 기자 lov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