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靑, ‘김정은 찬스’…정권 무덤 파는 자해행위”

입력 2020-09-26 11:32
국민의힘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26일 국회에서 열린 '북한의 우리 국민 사살·화형 만행 진상조사TF' 제1차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0.9.26 zjin@yna.co.kr/2020-09-26 11:18:43/

국민의힘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은 26일 “‘김정은 찬스’로 이번 사태를 무마하려 시도한다면 더 큰 국민적 공분을 자초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북한의 우리 국민 사살·화형 만행 진상조사 TF’ 회의에서 “이번 만행은 북한군이 비무장상태의 우리 국민을 총살하고 시신을 끔찍하게 화형 시킨 패륜적 무력도발”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정부는 아직 사태의 심각성을 외면하고 있는 것 같다”며 이 사건을 국제형사재판소(ICJ) 제소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회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날 청와대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사과가 담긴 통일전선부 명의 전통문을 발표한 것에 대해서는 “사과를 한다면 북이 직접 해야지, 왜 문 대통령을 시켜서 ‘대독 사과’를 하느냐”며 “정부는 북의 하명 사항 처리대행소인가”라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소위 북한이 사과했다는 전통문을 보면 앞뒤가 맞지 않는다. 실종자에게 총을 쏜 점은 인정했는데 혈흔만 있고 사람은 없었다는 엉터리 주장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ICC 제소 및 안보리 회부라는 우리 당의 강경 대응에 대한 꼼수 또는 책임회피용 방어전략”이라고 말했다.

북한의 총격으로 사망한 해양수산부 공무원의 형인 이래진 씨가 26일 국회에서 국민의힘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 및 의원들을 만나기 위해 하태경 의원과 함께 도착하고 있다. 2020.9.26 zjin@yna.co.kr/2020-09-26 10:51:48/

김 위원장은 또 “행여나 문재인정부가 느닷없이 북한의 전통문과 진정성 없는 면피성 사과로 이번 사태를 덮으려 한다면 정권의 무덤을 스스로 파는 자해행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소위 ‘대통령의 47시간’에 대한 진실이 밝혀져야 만이 문 대통령의 군통수권 자격 논란이 정리될 것”이라며 “지금 남북 핫라인보다 대통령과 청와대 비서진 간 핫라인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왜 나오는지 돌아보라”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TF 회의에 앞서 국회를 찾은 북한 피격 사망 공무원 A씨의 형 이래진씨와 20여 분간 비공개 면담을 하기도 했다. 면담은 TF 위원인 하태경 의원의 주선으로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