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25일 동구 좌천역 인근 쪽방촌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부산 동구 주거취약지 도시재생 방안’을 국토교통부와 부산 동구청과 동시에 발표했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 1월과 4월 서울 영등포 쪽방촌 정비방안과 대전역 쪽방촌 도시재생 방안을 차례로 발표한 데 이어 부산 동구는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사업 3번째로 발표다.
도시재생사업은 좌천역 인근 쪽방이 밀집된 주거취약지역을 철거한 후 공공주택을 공급하는 방식의 ‘주거환경개선사업’과 인근 노후 주거지의 정주 환경을 개선하는 ‘주거지 지원형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결합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사업시행자로 참여하는 부산 동구청과 한국토지주택공사가 도시재생활성화계획을 수립해 올 10월 국토교통부에 신청하고, 도시재생특별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사업이 확정되면 2021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될 전망이다.
주거환경개선사업에는 1300여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돼 주거취약지역 1만7000㎡에 공공주택 425호(공공 분양 340호, 공공 임대 85호)를 조성할 예정이다.
사업이 진행되는 동안 기존 세입자 등의 내몰림이 없도록 사업지 인근에 순환형 임대주택을 조성하고 인근 아파트를 매입함으로써 총 100호 규모의 임시주거시설을 확보해 이주하고, 준공 후 조성된 공공 임대아파트에 재정착하게 된다.
또 폐교된 옛 좌천초등학교의 유휴부지를 문화·복지·교육·주민편의시설이 포함된 복합거점 공간으로 조성하는 주거지 지원형 도시재생 뉴딜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또 보행환경개선 사업, 생활 SOC 조성사업 등을 추진한다.
한편 부산시는 2014년 ‘부산유라시아플랫폼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사업’을 시작으로 지난해까지 총 23곳에 국비 2228억원을 확보해, 전국 특·광역시 중에서 가장 많은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진행 중이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