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5일 북한에 의한 해양수산부 공무원 이모(47)씨 사살 사건과 관련해 “(북한이) 과감하게 사과하고 ‘우리도 잘못했다. 그러니까 이거는 우리 판단착오다’ 이렇게 된다고 하면 상황이 완전히 역전될 수 있는 소지도 있다. 남북 관계를 좋은 쪽으로 만들 수있는 소지도 있다”고 발언해 논란이 되고 있다. 대한민국 국민이 북한의 총격으로 사망했는데 북한의 사과 한번으로 오히려 남북 관계가 좋아질 수 있다고 발언한 것이다.
5선 중진으로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인 설 의원은 이날 YTN 라디오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설 의원은 “북쪽이 지금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조치는 사과를 해야 한다. 어느 세계에서 이런 사실에 대해서 규탄 안 할 데가 없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9·19 군사합의조치가 다시 재가동되도록 하는 것이 남북평화를 위해서는 제일 먼저 해야 하는 작업이라고 하는 게 이번 사건에서 주는 일종의 교훈이라고 볼 수 있다”며 “(남북) 핫라인이 통했으면 이렇게까지 악화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건 발생 이후에도 문재인 대통령의 유엔총회 연설이 예정대로 진행된 데 대해선 “전형적인 부당한 정치공세”라고 청와대를 감쌌다.
이어 “문 대통령 유엔 기조 연설은 코로나 때문에 녹화 중계했다. 15일 날 녹화돼서 18일 날 유엔으로 보냈다. 그리고 연설을 전면 취소하지 않는 한 수정은 못하는 것이다. 그냥 보냈으니까”라며 “그래서 수정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었고. 문 대통령이 도발을 알고 연설을 했다, 이 이야기는 전혀 아니다”라고 말했다.
우리 군의 대응에 대해선 “군이 약간 이 상황에 대해 안일한 판단이 있었던 것 같다는 느낌은 든다”면서도 “그러나 NLL(북방한계선) 밖에 있는 상황인데, 북쪽에서 일어나는 상황인데 어떻게 할 수 있는 일이 있느냐. 여기까지는 충분히 이해가 가는 부분”이라고 평가했다.
설 최고위원은 “이게 NLL 북쪽이다. 우리 영역 밖에서 일어난 사안이기 때문에 어떻게 할 길이 없다”며 “그러면 같이 대응을 해서 소총사격을 하겠는가, 포를 쏘겠는가. 그럴 수 있는 것은 전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물론 경고방송을 해서 우리 국민을 돌려보내라고 이렇게 할 수 있는데 그것도 바로 대북 첩보자산들이 드러나는 상황이 된다”며 “군으로서는 그렇게 쉽게 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라고 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