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해양경찰서 신동삼 서장은 24일 오후 5시 해양수산부 산하 국가어업지도선 공무원의 월북논란과 관련, 연평도 어업지도선 공무원 실종 관련 기자회견을 통해 “자진 월북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해경은 북한에서 총살된 이모씨(47)는 지갑 및 기타 소지품을 확인한 결과 유서 등 특이점이 발견되지 않은 점, 신발이 선상에 남겨진 점, 당시 조류상황을 잘 알고 있는 점, 구명조끼를 착용한 점, 평소 채무 등으로 고통을 호소했던 점 등으로 볼때 자신월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해경은 지난 21일 낮 12시51분쯤 서해어업관리단으로부터 해양수산부 소속 어업지도선 공무원 1명이 실종됐다는 신고를 접수한 뒤 경비함정 이동 지시 및 관계기관 상황 전파 등 실종자 수색을 진행했다.
해경은 실종자 행적을 수사하기위해 어업지도선 내 CCTV 2대를 확인했으나 고장으로 작동하지 않아 실종자 동선을 확인할 수 없었고 밝혔다.
해경 관계자는 “실종자의 침실 등 선내 확인 결과 휴대전화는 발견되지 않았다”며 “개인수첩, 지갑 및 기타 소지품 등을 확인했으나 유서 등 특이점도 발견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한편 중부해경청은 이날 오전 11시 인천 옹진군 소연평도 해상에서 북한에서 총살된 공무원이 마지막으로 승선한 서해어업지도선 무궁화 10호에 올라 수사관 4명을 투입해 승선원들을 대상으로 집중조사를 벌이고 있다.
북한에서 22일 총살된 공무원 이씨는 실종 당일인 21일 오전 0시부터 조타실에서 근무 중이었으며, 오전 1시30분쯤 조타실 동료에게 “문서작업을 해야한다”는 마지막 말을 남긴뒤 실종됐다.
신동삼 인천서장은 기자들과의 일문일답을 통해 “사고 당일 오전 1시35분쯤 실종된 이씨가 3항사에게 마지막 말을 건넨 뒤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컴퓨터를 켠 것까지는 확인됐다”면서 “하지만 같은 날 오전 12시까지 선내 CCTV가 작동되지 않아 이씨의 마지막 모습은 확인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