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간 연락채널이 3개월 전에 모두 끊기면서 정부가 북한의 만행을 직접 따지지 못하는 답답한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정부는 지난 23일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를 통해 간접적으로 사실관계 확인을 요청했으나, 북한은 묵묵부답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24일 연평도 인근 우리 국민 피살 사건과 관련해 “(북한과) 핫라인이 끊어져 있어 유엔사 정전위를 통해 사실관계 확인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우리 측은 23일 오후 통지문을 발송했지만 북한의 반응은 현재 없는 상황이다. 통일부 당국자도 이날 “북측에서 연락온 바는 없다”며 “통일부는 이 사건과 관련해 북측과 연락할 수단이 지금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연락채널이 단절되면서 정부는 항의는커녕 사실관계 확인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북한은 지난 6월 9일 탈북민 단체의 대북전단 살포를 문제삼으면서 남북 간 모든 공식 연락채널을 끊어버렸다. 북한은 당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 핫라인과 동·서해지구 군 통신선, 통신시험연락선(기계실 시험통신) 등을 모두 끊었다. 이후 6월 16일엔 개성공단 남북공동연락사무소까지 폭파했다. 2018년 4·27 판문점선언 이후 긴장완화와 신뢰 구축을 위해 남북 정상부터 실무 차원까지 촘촘히 구축했던 소통 채널들이 모두 닫힌 상태다.
우리 측 국정원과 북한 노동당 통전부 간 연락채널은 유지되고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북한은 다른 공식 연락채널을 끊을 때도 국정원과 노동당 통전부 간의 핫라인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여지를 남겨둔 바 있다.
한 대북 소식통은 “국정원과 통전부 간 소통채널은 남아 있는것으로 알고 있다”며 “일종의 물밑접촉을 통해 우리 측과 북한 당국 간 접촉이 이루어질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북한에 대한 공개적인 규탄 메시지를 내면서, 물밑접촉을 통해 진상파악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조선중앙통신 등 관영매체나 대외선전매체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이번 사건에 대한 입장과 경위를 밝힐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
▶
▶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