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소속 어업지도 공무원 A씨가 북한군에 의해 사살되고 시신이 불태워지는 사태가 발생했지만 군은 속수무책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군 측은 “상상하지 못했다” “북측 해역에서 발생한 일”이라는 식으로 해명하고 있다.
합동참모본부의 설명에 따르면 군은 지난 21일 오전 11시30분쯤 소연평도 인근 해상에 있던 어업지도선에서 A씨가 실종된 사실을 감지했다. 군은 같은 날 오후 1시50분부터 해경·해군·해수부 선박 20척과 해경 항공기 2대를 투입해 정밀 수색을 했다. 22일까지 대연평도, 소연평도, 해안선 일대까지 정밀 수색했지만 A씨는 발견되지 않았다. 해병대 연평부대 감시장비에 녹화된 영상까지 확인했지만 A씨의 흔적은 포착되지 않았다고 한다.
수색이 난항을 겪는 상황에서 22일 오후 3시30분쯤 A씨로 추정되는 인물이 북한 쪽에서 모습을 드러냈다. 북한 수산사업소 선박이 황해도 등산곶 인근 해상에서 A씨로 추정되는 인물과 접촉하는 장면이 군 감시망에 포착됐다. 군은 구명조끼를 입은 채 부유물에 탑승해 있는 기진맥진한 상태의 A씨를 발견했다.
북한 선박은 이후 A씨를 해상에 그대로 둔 채 월북 경위 등을 물었다. 그러던 북한은 돌연 단속정을 현장으로 보내 약 6시간 만인 오후 9시40분쯤 A씨에게 사격을 가했다. 북한은 오후 10시11분에는 A씨의 시신에 기름을 붓고 불태웠다.
군은 북한이 A씨를 사살하고 불태우기까지 할 것으로 예상하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군 관계자는 24일 기자들과 만나 “바로 사살하고 불태울 것이라 상상하지 못했다. 북한이 그렇게까지 나가리라 예상 못했다”고 했다. 이 관계자는 또 “우리도 북한이 우리 국민을 몇 시간 뒤 사살할 것으로 판단했다면 가만 안 있었을 것이다. 예상치 못하게 일어났다”고 덧붙였다.
군은 서해 북방한계선(NLL) 너머 북한 지역 인근에서 군사작전을 하기 어려웠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적 지역에 대해 즉각 대응하기 어렵다”고 했다. 또 “이번 사안은 남북이 군사적으로 대치하거나 군사적 대응 조치가 필요한 사안이 아니었다”며 “분명히 북측 해역에서 일어난 사건이었고 우리 국민이 우리 영토나 영해에서 위협받는 상황이 아니어서 실시간 확인하는 즉시 대응하는 사안이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다만 A씨가 북한 해역에 있다는 걸 군이 사전에 파악했음에도 6시간 동안 별다른 조치를 하지 못했다는 점은 비판이 불가피해 보인다.
청와대와 국방부도 이 사안을 사전에 파악하고 있었다. 군 관계자는 “(국방)장관이 실종 당일부터 실종 사항을 알고 있었다”며 “그 다음날 불빛이 보이고 하는 상황도 (장관이) 다 알았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청와대에도 그 시간에 보고됐다. 장관에게 보고하면서 위기관리센터에도 (보고)됐다”고 설명했다. 결국 군과 국방부, 청와대가 사고 대처에 미흡했다는 비판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