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국내에서 유행하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의 변이에도 항바이러스 효과를 보이는 치료제가 확인됐다.
코로나19 변이 유형인 GH, GR 바이러스의 폐세포 배양 실험에서 기존 치료제인 시클레소니드 보다 5배 가량 높은 항바이러스 효과를 보였다. 해당 치료제는 흡입형 천식 약으로 개발되던 개량 신약이다. 시클레소니드 또한 천식 약의 성분으로, 세포실험에서 항바이러스 효과가 확인돼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 중이다.
다만 세포실험 단계 효과여서 향후 동물실험이나 사람 대상 임상시험에서 같은 효과가 나타날 지는 미지수다.
한국유나이티드제약은 고려대 의대 생물안전센터 연구진과 함께 코로나19 치료제로 개발중인 ‘UI030(부데소나이드와 아포르모테롤 복합 성분)’의 폐세포 실험 결과 변이된 바이러스그룹에서도 치료 효과를 확인했다고 24일 밝혔다.
제약사 측은 “초기의 코로나19 바이러스 유형인 S가 최근 변이돼 GH, GR형으로 유행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 새로운 유형의 치료를 위해 실험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UI030은 초기 코로나19 바이러스 유형인 S그룹을 이용한 실험에서 시클레소니드 대비 10배 이상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한 바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지난 19일 국내 처음 보고된 코로나19 재감염 의심사례를 공개했다. 재감염된 바이러스 유형이 기존과 다르다고 밝혔으며 변이된 유전자 변형이 재감염 원인으로 추정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전자는 리보핵산(RNA) 형태로 변이가 자주 일어날 수 있다. 올해 4월 초까지 전세계적으로 S와 V그룹이 유행한 것과는 달리 현재는 G, GR, GH그룹의 바이러스가 유행하고 있다. 아프리카와 인도 러시아는 GR그룹, 유럽 및 북미에서는 GH그룹이 우세한 상황이다.
국내에서는 지난 5월 ‘이태원발 집단감염’ 이후 GH그룹의 코로나19가 주로 발생하고 있다. 최근 해외 유입 감염의 50% 이상은 GR그룹이 차지하고 있다.
기존에 개발되고 있는 치료제와 항체의 효력시험은 대부분 초기 코로나19 바이러스인 S그룹으로 실시됐으나 최근 바이러스 변이에 따라 임상효과를 예측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제약사와 고려대 의대 연구팀은 “이번 실험을 통해 UI030의 넓은 항바이러스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제약사 측은 지난 18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UI030의 임상시험(2상) 신청서(IND)를 제출했다.
식약처 승인이 나면 코로나19 유형 S그룹은 물론 GH, GR 그룹의 환자 150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이 이뤄진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