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인권도시포럼 광주에서 10월7일 개막

입력 2020-09-24 09:17 수정 2020-09-24 14:09

제10회 세계인권도시포럼이 오는 10월7일부터 10일까지 ‘기억과 공동체-인권도시의 미래’라는 주제로 광주 상무지구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현장 청중 없이 온라인 화상 방식으로 열리는 포럼은 TV 녹화방송과 유튜브 생중계를 통해 전 세계인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생중계 참여는 세계인권도시포럼 홈페이지(http://www.whrcf.org), 유튜브(세계인권도시포럼)를 통하면 된다.

올해는 광주시, 광주시교육청, 국가인권위원회,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함께 국제기구인 UN 인권최고대표사무소와 유네스코 본부가 공동 주최기관으로 참여해 국제적 위상이 높아졌다.

광주시는 이번 포럼에 세계 50여 개국에서 250여 명의 연사를 포함한 2000여 명이 참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용섭 광주시장, 최영애 국가인권위원장과 이재준 경기도 고양시장 등 국내 인사는 물론 미첼 바첼레트 UN 인권최고대표, 오드레 아줄레 유네스코 사무총장, 에밀리아 사이즈 세계지방정부연합 사무총장, 마커스 쾨니히 독일 뉘른베르크시장, 마르테 뫼스 페르세 노르웨이 베르겐시장 등 유명 해외인사 14명도 온라인으로 참여한다.

포럼에서는 국내 32개, 해외 11개 협력기관이 참여해 프로그램을 공동 운영한다. 프로그램은 공식행사, 전체회의, 주제회의, 특별회의, 네트워크회의, 인권교육회의, 연계행사 등 7개 분야 35개를 선보인다.

첫날 개회식에서는 유네스코 사무총장과 UN 인권최고대표가 기조 발제를 한다. 두 기관의 기조 발제는 영상으로 진행된다.

‘전체회의1’에서는 각 도시의 역사적 경험을 통해 더욱 안전하고 포용적인 인권 도시를 만들기 위한 전략을 논의한다. ‘전체회의2’에서는 10월 초 UN 인권이사회가 채택하는 ‘지방정부와 인권 결의안’에 대응해 2021년 인권도시 운동에 대한 공동단계별 이행안을 협의한다.

‘전체회의3’에서는 지방 정부들의 ‘포스트 코로나’ 전략을 공유하면서 포용적이고 회복력 있는 도시 조성을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주제회의’에서는 노인, 여성, 어린이·청소년, 장애, 이주민, 환경, 사회적 경제, 안전도시 등 8개 주제별로 지역 시민단체들이 직접 회의를 기획·운영해 시민들의 인권증진을 위한 정책을 도출한다.

‘특별회의’로는 국내 기억도시 네트워크 회의, 글로벌 청년 주거권 회의, 국가폭력과 트라우마 회의, 인권 논문 발표, 해외 인권정책회의, 인도네시아 인권도시 회의 등이 진행된다. ‘네트워크 회의’에는 유네스코 포용 및 지속가능도시국제연합 회의, 유네스코 아태차별반대도시연합 워크숍, 인권활동가 네트워크 워크숍, 인권도시 확산 프로젝트 워크숍 등이 열린다.

올해 10회째인 세계인권도시포럼은 그동안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뒀다. UN 기구, 중앙·지방정부, 국제인권단체·연구소, 시민사회단체 등 인권보호 주체가 참여하는 국제인권네트워크의 중심 역할을 수행해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인권행사로 자리매김했다.

광주시는 2011년부터 국제인권도시 확산 운동을 펼쳐 UN인권이사회가 ‘지방정부와 인권 결의안’을 2013년에 채택하는 토대가 됐다.

UN 인권이사회가 2015년과 2019년에 채택한 ‘지방정부와 인권 보고서’에는 광주시의 인권정책과 세계인권도시포럼이 우수사례로 실렸다.

광주시 윤목현 민주인권평화 국장은 “UN기구 2개 기관의 포럼 참여는 광주시를 중요한 인권연대 동반자로 인정한다는 의미”라며 “인권 도시 확산 운동의 구심점이 되도록 포럼을 내실 있게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