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4자 합의에 따른 대체매립지 공모 참여 이행을 압박하는 환경부·서울시·경기도를 향해 진정성 있는 4자 합의정신을 강조하며, 환경정의에 부합한 후속 노력을 촉구하기도 했다.
박 시장은 22일 시청에서 열린 정책현안회의 및 SNS 등을 통해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에 대비해 인천시만의 자체매립지를 조성하라는 것은 공론화 과정을 통해 참여해 주신 시민 93.5%가 동의해 주신 내용”이라며 “신청지가 있다면 상호협의 과정을 거쳐 수용여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21일 인천시는 수도권매립지 3-1공구 매립 종료에 대비하기 위한 자체매립장 조성에 나섰으며, 이를 위해 입지 후보지 추천을 받기로 했다.
이와 관련, 박 시장은 2015년 체결된 4자 합의를 언급한 뒤 “지난 5년간 쓰레기매립지 종료를 위한 노력이 단 한 발자국도 나아가지 못했다”며 “구태적인 매립방식은 바꾸지 않은 채, 쓰레기 저감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지 않고 대체매립지 조성을 하겠다고 하면 어떤 지역이, 어떤 국민이 동의할 수 있겠냐”라며 비판했다.
이어 “지난 2017년부터 수도권 3개 시·도가 대체매립지 조성을 위해 용역을 진행했지만 주민수용성 우려로 결국 후보지를 공개하지 못했다”며 “이로 인해 명확해진 것은 ‘지금처럼 수도권 모든 생활·사업·건설쓰레기를 함께 묻는 방식으로는 대체매립지를 찾을 수 없다’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박 시장은 “그래서 인천이 먼저 자체매립지를 시작하자는 것”이라며 “공동매립보다 더 친환경적이고, 환경정의에도 부합하며 일방적인 피해를 강요하지 않을 수 있는 방법은 자체매립지 마련과 쓰레기 처리 방식의 근본적 변화다. 이미 4자 협의에서도 제안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박 시장은 또 인천시를 제외한 3개 협의주체가 대체매립지 공모 참여를 압박하며 시를 향해 4자 합의의 성실한 이행을 촉구하는 데 대해서도 강하게 반박했다.
박 시장은 “인천시는 (서울시 등에서 주장하는)4자 합의 체계에서 먼저 빠진 바 없다”며 “오히려 4자 합의 정신에 충실히 입각하여 실질적인 해결책을 마련하자고 끊임없이 촉구하고 자구책을 마련해 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4자 협의체 모든 주체가 진일보한 방안을 내놓지 못한 채 대체매립지를 찾지 못할 경우 수도권매립지를 이어 사용할 수 있다는 독소조항 하나에 기대온 것은 아닌지 돌아봐야 할 때”라며 “우리는 폐기물의 발생지 처리 원칙에 뜻을 함께 했다. 후속 노력에 함께 해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박 시장은 시청사 환경개선 사업과 관련, “어제(21일) 시청사 별관 매입과 주차장 증축을 포함한 인천愛뜰 대규모 확장 계획을 공개했다”며 “이번 계획은 시민을 더 잘 섬기고 봉사하기 위함이며, 적극행정의 출발점이자 더 많은 시민의 쉼터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