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이 최근 재입북한 탈북민들의 북한 내 동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은 22일 오전 비공개로 진행된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재입북한 탈북민의 북한 동향에 관한 질의에 이같이 답변했다고 정보위 국민의힘 간사인 하태경 의원이 전했다. 하 의원이 통일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재입북한 탈북민은 29명이며 이중 6명은 다시 탈북해 한국으로 돌아온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국정원은 재입북 동기와 관련해 “회유와 협박, 범죄, 외로움 등 다양하다”고 보고했다고 한다. 하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회의에서 통일부 자료를 근거로 국정원에 관련 질의를 했다”면서 “대북동향 파악을 못 하면 이에 대한 대책을 세우기 어렵고 관련 예산이 편성되기 어렵다는 취지로 국정원을 질타했다”고 설명했다.
하 의원은 밥 우드워드 워싱턴포스트(WP) 부편집장의 신간 ‘격노’에 일부 소개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고모부 장성택 처형 방식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듣지 못했다고 했다. 우드워드 부편집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인터뷰해 쓴 이 책에는 ‘김정은이 장성택을 처형한 후 머리 없는 시신을 고위 간부들이 다니는 건물 계단에 전시했다’는 내용이 있다. 하 의원은 “장성택 부하들은 고사총 난사로 죽은 것으로 확인됐는데 장성택은 어떻게 죽었는지 구체적으로 파악하지 못했다는 보고를 과거에 받은 바 있다”며 “국정원은 오전 회의에서 이에 대한 보고를 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 출석한 박지원 국가정보원장은 국정원의 대공수사권을 경찰에 이관하게 되더라도 관련 인원을 경찰에 넘기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 원장은 ‘대공수사권 기능이 이관될 경우 인력도 함께 넘어가느냐’는 질의에 “자발적 지원 외에 고려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박 원장은 “인력이 자발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한 인력을 강제로 넘기는 것은 아직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보위 더불어민주당 간사인 김병기 의원은 “사실 경찰에서 자체 인력으로는 아직 (대공수사) 능력이 확보되지 않는다는 입장이 일부 있다”면서 “법안소위 때 심층적으로 논의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