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경 “국정원, 재입북 29명 북한동향 파악 안 돼”

입력 2020-09-22 15:17
박지원(가운데) 국가정보원장이 22일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모습. 연합뉴스

국가정보원이 최근 재입북한 탈북민들의 북한 내 동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은 22일 오전 비공개로 진행된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재입북한 탈북민의 북한 동향에 관한 질의에 이같이 답변했다고 정보위 국민의힘 간사인 하태경 의원이 전했다. 하 의원이 통일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재입북한 탈북민은 29명이며 이중 6명은 다시 탈북해 한국으로 돌아온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국정원은 재입북 동기와 관련해 “회유와 협박, 범죄, 외로움 등 다양하다”고 보고했다고 한다. 하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회의에서 통일부 자료를 근거로 국정원에 관련 질의를 했다”면서 “대북동향 파악을 못 하면 이에 대한 대책을 세우기 어렵고 관련 예산이 편성되기 어렵다는 취지로 국정원을 질타했다”고 설명했다.

하 의원은 밥 우드워드 워싱턴포스트(WP) 부편집장의 신간 ‘격노’에 일부 소개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고모부 장성택 처형 방식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설명을 듣지 못했다고 했다. 우드워드 부편집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인터뷰해 쓴 이 책에는 ‘김정은이 장성택을 처형한 후 머리 없는 시신을 고위 간부들이 다니는 건물 계단에 전시했다’는 내용이 있다. 하 의원은 “장성택 부하들은 고사총 난사로 죽은 것으로 확인됐는데 장성택은 어떻게 죽었는지 구체적으로 파악하지 못했다는 보고를 과거에 받은 바 있다”며 “국정원은 오전 회의에서 이에 대한 보고를 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 18일 국회에서 열린 원인철 합참의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질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날 회의에 출석한 박지원 국가정보원장은 국정원의 대공수사권을 경찰에 이관하게 되더라도 관련 인원을 경찰에 넘기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 원장은 ‘대공수사권 기능이 이관될 경우 인력도 함께 넘어가느냐’는 질의에 “자발적 지원 외에 고려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박 원장은 “인력이 자발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한 인력을 강제로 넘기는 것은 아직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보위 더불어민주당 간사인 김병기 의원은 “사실 경찰에서 자체 인력으로는 아직 (대공수사) 능력이 확보되지 않는다는 입장이 일부 있다”면서 “법안소위 때 심층적으로 논의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