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이후 법원에 제출된 CCTV 복원 영상과 저장장치인 DVR 수거과정에 조작 흔적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사건을 조사하고 있는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는 국회에 특검을 요청하고 나섰다.
특조위는 22일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14년 4월 세월호 참사 직후 광주지법 목포지원에 제출된 CCTV 영상파일을 분석한 결과 1만8000여개의 조작 흔적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특조위에 따르면, CCTV 파일에 담긴 각각의 고유 소스를 분석한 결과 불규칙적으로 주변부와 동일한 소스로 구성된 파일이 발견됐다. 소스가 중복된 파일은 오류로 인해 재생이 불가능한데, 이런 파일이 참사 당일인 16일에만 전체의 62%가 몰려있다고 설명했다. 박병우 특조위 진상규명국장은 “프로그램 오류 가능성도 함께 조사했지만 사람이 직접 조작하지 않으면 이런 오류가 벌어질 수 없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또 특조위는 CCTV에 녹화된 영상을 저장하는 장치인 DVR을 수거하는 과정도 조작됐다고 의심하고 있다. 2014년 DVR 수거 당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한 결과 장치 뒷면에는 64개의 CCTV 라인이 강하게 묶여있어야 했는데, 실제로는 1m 이상 떨어진 곳에서 발견됐다는 것이다. 앞서 지난해 3월에도 특조위는 해군이 수거한 DVR과 검찰 세월호 특별수사단(특수단)이 확보한 DVR이 서로 다른 장치라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밖에도 특조위는 해군이 케이블 커넥터 나사를 풀어 장치를 수거했다고 했지만 현장에서 커넥터가 발견되지 않았은 점과 해군측 DVR에는 고무패킹이 없었지만 검찰측 DVR에는 고무패킹이 있었던 점, DVR 잠금장치 모양이 달랐던 점도 추가 근거로 제시했다.
특조위는 “이 사안에 대해 지난해 3월 검찰에 수사를 요청했지만 8개월 뒤인 11월에야 특수단이 사건을 이첩받아 수사에 착수했지만 뚜렷한 진전은 없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호승 특조위 상임위원은 “특검 임명을 위한 국회 의결을 요청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황윤태 기자 trul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