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21일 ‘제2차 국정원·검찰·경찰 개혁 전략회의’가 열린 청와대 영빈관에 추미애 법무부 장관,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과 함께 입장했다. 청와대는 의전 관례를 따른 것으로 추 장관의 ‘대통령 독대’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문 대통령이 아들 군 특혜 의혹 논란에 휘말린 추 장관에 대한 신임을 나타낸 정치적 메시지라는 해석을 낳고 있다. 문 대통령은 또 모두발언에서 권력기관 개혁성과를 소개하며 “스스로 개혁을 이끈 여러분의 노고를 높이 치하한다”고도 했다. 이 역시 추 장관에 힘을 실어주겠다는 의지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이날 회의는 오후 2시에 시작됐다. 박지원 국가정보원장,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 김순은 자치분권위원장 등 관련 부처 장관과 위원장들은 시작 5분 전에 미리 도착해 착석해 있었다.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한정애 민주당 정책위의장 등 여당 지도부와 여러 청와대 참모들도 미리 와서 회의 준비를 하고 있었다.
하지만 추 장관은 2시 정각에 문 대통령과 함께 입장했다. 평소 대통령을 수행하는 노영민 비서실장과 함께 들어왔다. 추 장관을 향해 야당이 사퇴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 같은 입장 장면이 연출된 것은 ‘추 장관 힘 싣기’라는 해석이 나온 이유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에 대해 “추 장관은 행사장 바깥에서 영접 목적으로 대기하다가 대통령과 만나서 들어오신 것”이라며 “노영민 비서실장과 같이 영접을 했고, 통상적으로 영접자의 경우 경내 청와대 인사로는 비서실장이 영접자다. 그리고 내각에서 영접을 할 때는 의전 서열에 따라서 영접을 하게 된다”고 했다. 이날 참석 장관 중 추 장관의 의전 서열이 제일 높기 때문에 추 장관이 대통령을 영접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추 장관은 문 대통령 영접 후 행사장까지 입장하는데 걸린 시간은 30초 정도였다. 그 짧은 시간마저도 노 실장과 청와대 참모들이 함께 있었기 때문에 “독대는 없었다”는 게 청와대 설명이다.
청와대는 그동안 추 장관 거취에 대해서 “검찰이 수사 중인 사안”이라며 최대한 말을 아껴왔다. 청와대는 이번 회의에 추 장관 거취를 연결시키는 해석에 대해서도 여러 차례 선을 그어왔다.
여권에서는 문 대통령이 추 장관과 함께 검찰 개혁을 논의하면서 ‘추미애 정국’을 마무리 짓는 국면으로 가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추 장관 아들을 둘러싼 논란은 현재 검찰이 수사를 진행 중이지만 아직까지는 결정적인 ‘스모킹건’이 없다는 게 여권 전반의 기류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