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채용 필기시험 성적, 전체 공개된다

입력 2020-09-21 17:09
정세균 국무총리가 18일 정부서울청사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청년정책조정위원회에 참석해 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앞으로 공공기관 채용 필기시험에서 모든 수험생들의 개별 성적이 공개될 전망이다. 이 외에도 대학 장학금 지원 확대,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지급 기회 확대 등 코로나19로 더 어려워진 청년들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청년 정책들이 대거 마련됐다.

정부는 지난 18일 제1차 청년정책조정위원회를 개최해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제2차 청년의 삶 개선방안을 심의·의결했다. 정부는 이날 청년들의 일자리 문제 등에 대응하기 위해 일자리, 주거, 교육, 생활, 참여·권리 등 5개 분야에서 43개 과제를 마련했다.

정부는 우선 참여, 권리 분야에서 연내 공기업과 준정부기관, 기타공공기관 등 공공기관 총 340곳에 채용 필기시험 합격선과 수험생의 개별 성적을 전체 공개하도록 권고하기로 했다. 이는 수험생들이 필기시험에서 부족한 점과 보완사항을 알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다.

일자리 분야에서는 자기주도적으로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만18세 ~ 34세)에게 월 50만원씩 최대 6개월간 취업준비 비용을 지원하는 청년구직활동지원금을 한 번 더 지급하는 것으로 내용을 개선했다. 기존에는 청년구직활동지원금을 평생 1회만 지원받을 수 있었지만, 이번 개선방안을 통해 지원 후 3년이 지나면 다시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

또 청년 일자리를 확대하기 위해 청년을 정규직으로 고용한 기업에 지원하는 청년추가고용장려금을 기존 29만명에서 38만명으로 확대지원키로 했다.

교육 분야에서는 취업난 등으로 사회진출 시기가 늦어지고 있는 대학생들의 경제적 부담 완화를 위해 학자금 대출 금리를 기존 1.85%에서 1.70%로 추가 인하하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또 실직 및 폐업으로 인해 일반상환학자금 대출 상환이 곤란할 경우, 최대 3년간 대출원리금 상환을 유예할 수 있도록 하는 특별상환유예제도를 개선한다.

이 외에도 주거 분야에서는 전세자금 마련이 어려운 청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의 대출 규모는 올려주고 대출 금리는 낮추는 등 주거 정책을 개선하고, 20대 미혼 청년의 자립을 지원하기 위해 주거급여를 받는 부모와 별도 거주시 부모와 분리하여 주거 급여를 지급하는 내용으로 정책을 개선한다.

김남명 인턴기자